시민운동의 위상회복이 부산경실련의 과제 > 이슈&초점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이슈&초점

시민운동의 위상회복이 부산경실련의 과제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01-21 16:33 조회8,407회 댓글0건

본문

지난 1월11일, 1박2일의 일정으로 부산경실련 임원워크샵이 열렸다. 2014년 부산경실련의 사업방향을 결정하기 위한 모임이었다. 이날 워크샵에서는 부산경실련 김대래 상임대표의 ‘시민운동과 부산경실련의 과제’라는 주제의 발표와 박재운 정책위원장의 ‘부산경실련 사업분석 및 향후 발전 방안’의 발표가 이어졌고, 차진구 사무처장의 ‘시민운동의 이슈와 기획의 정석’이라는 추가 발표가 있은 후, 참석자들의 자유토론이 이어졌다.

 이날 워크샵에서는 참가자들을 5개조로 나뉘어 ‘2014년 사업아이디어 기획’을 작성하여 공유하는 시간도 가졌으며, 이어 ‘지역자치모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이정주 조직위원장의 발표에 이은 자유토론 등으로 밤늦게 까지 이어졌다. 다양한 사업계획과 조직 활성화 방안 이외에도 사무처 상근자 처우개선 및 역량강화 방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논의들이 이어졌다. 이 날 나온 사업기획 아이디어는 대부분 2014년 사업계획에 반영되어 부산지역 시민운동의 부활과 부산경실련의 위상 강화의 계기가 될 것이다.

** 구성원 및 시민과의 소통과 현장 중심의 운동을 통해 시민운동 위상 회복해야...

 이틀 동안 이어진 워크샵을 통해 부산경실련 내․외부 간의 진정한 ‘소통’과 함께 풀뿌리 운동의 강화가 필요하며, 시민운동의 추락한 위상을 회복하기 위한 시민운동적 역량 강화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부산경실련은 2014년 사업의 핵심과제로 '현장중심의 운동을 통해 시민단체의 위상을 회복하고 서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생활의 빈곤을 해소하는 데 역점을 두기로 하였다.

 이날 김대래 상임대표는 기조발제 성격의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시민들로부터 신뢰받는 부산경실련이 되기 위해서는 사무처와 정책위원회 그리고 지역자치모임 중심의 조직위원회 구성원 모두가 시민운동의 역량을 향상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바탕으로 시민과의 소통을 통해 현장 중심의 이슈선정과 목표달성을 이루어내는 전략․전술이 마련되어야 하며, 제대로 된 대안을 제시하는 일도 소홀하지 않아야 함을 강조했다.

** 자신이 속한 사회를 보다 나은 상태로 바꾸는 것은 역사적 현상이다.

 자신이 속해 있는 사회를 좀 더 나은 상태로 바꾸기 위해 사회를 개혁하고 변화시키는 노력은 역사상 오래된 현상이며, 일반 시민들이 사회운동에 적극 뛰어들고 조직화된 힘을 가지고 사회를 바꾸려 하는 최근의 노력이 바로 시민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1990년대 경실련은 가장 강력한 시민단체였으며, 경제정의 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현안에 개입하여 문제해결의 중심에 있었다. 하지만, 최근 10년 간 경실련의 위상은 하락하였으며, 시민들의 신뢰와 지지도 옅어진 것이 사실이다. 

 시민운동은 과거 계급운동과는 차별성을 가진다. 1987년 6.29선언 이후 형식적 민주주의가 갖추어지면서 실질적 민주주의를 성숙시키는 것이 시민운동의 과제가 되었으며, 시민운동의 태동 또한 형식적 민주주의의 완성과 실질적 민주주의의 실현이라는 두 가지 상황을 동시에 앉고 있다. 진정한 민주주의는 국가의 폐지에 의해서 해결되는 것이 아니라 국가를 지속적으로 견제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데 있다.

** 시민운동은 국가의 지속적 견제와 소외된 이들을 위한 이슈에서 출발해야...

 하지만, 자본주의 사회의 모든 문제는 자본의 축적이라는 근원적 문제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시민운동이 계급운동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기득권과 부자들을 위하는 이슈나 주제가 아니라 서민과 가난한 자, 소외된 이들을 위한 일상적 문제에서 운동이슈를 찾아야 하는 이유가 된다.

 1990년대를 지나면서 시민운동의 동력은 급격히 약화되었다. 보는 관점에 따라 다양한 논쟁이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시민단체들의 영향력이 예전과 같지 않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명망가 중심의 운동이라는 비난으로부터 일정부분 벗어나는 성과는 있었지만, ‘시민없는 시민운동’이라는 오래된 비판은 여전하다.

 김대래 대표는 시민운동의 영향력 약화를 ‘운동방식이 시대에 따라 진화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언론에 힘입어 영향력을 발휘하던 방식에 한계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양한 시민단체의 탄생으로 인한 다원화와 실질적 민주주의의 후퇴, 가속화되는 신자유주의의 영향도 시민단체의 영향력 약화의 원인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중산층의 붕괴와 양극화는 사회를 돌아보고 참여할 수 있는 여유를 앗아가 버렸다.

** ‘시민없는 시민운동’의 극복을 위해 욕망과 대안, 연대에 주목해야...

 무기력한 부산을 역동적인 도시로 만들기 위해서는 시민운동이 제자리를 찾고 그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김대래 대표는 주장한다. ‘시민 없는 시민운동’에서 벗어나 ‘시민과 함께하는 시민운동’을 위해서는 의무감으로 시민운동에 뛰어들던 시대의 미련을 떨쳐버려야 한다. 의무가 아니라 ‘재미’가 사람들을 끌어들여야 한다. 이성이 아닌 ‘욕망’이 시민을 이끌어야 한다. 참여하는 사람들의 욕망이 충족되는 시민운동이 필요하다.

 성명서와 기자회견으로 끝나는 시민운동이 되어서는 안 된다. 시민적 공감대를 불러일으키고 주목을 받을 수 있는 대안이 생산되고 유통되게 해야 한다. 행사와 회의, 업무에 시달리는 시민운동이 아니라, 시민들의 참여와 공감, 다양한 활동에 참여하고 직접 느끼는 운동이 필요하다.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기쁨과 만족도 맛볼 수 있어야 한다.

 개별적 시민운동으로부터 벗어나는 일도 급선무다. 시민운동의 핵심가치는 ‘연대성’이다. 형식적 민주주의에 머물러 실질적 민주주의를 실현시키지 못하는 시민사회의 한계를 극복해야 한다. 개량적 시민운동인 경실련의 한계가 운동방식을 제한하기도 하지만, ‘계급적 시민’을 위한 일을 게을리 할 수 없다. 우리사회 전체의 민주주의의 진전을 위해 사상이나 이념을 넘어서서 뭉쳐야 한다.

** 공동체 부산을 살리는 시민운동, 시민이 신뢰하는 부산경실련이 되어야...

 부산경실련은 시민들의 신뢰와 지지를 회복하기 위해 2014년을 달려 나갈 것이다. 보다 나은 사회가 되는 일에 많은 걸림돌이 존재하고 많은 사회문제가 산적해 있다. 이를 외면하는 것은 시민운동의 위상을 더 이상 회복시키지 못하게 할 것이다. 시민과의 소통, 내부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위해 현장으로 뛰어 나갈 것이다.

 지방분권 시대가 열리고 풀뿌리 자치가 기반을 마련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일상적 문제에서 우리가 해야 할 운동 이슈를 찾지 않으면 안 된다. 실생활과 괴리된 운동은 시민들로부터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

 서민경제를 살려내고 사회적 경제의 토대를 구축하는 일에도 앞장 설 것이다. 대기업과 부자들만을 배불리는 신자유주의와 수출주도형 경제를 새로운 대안경제체제로 전환시켜야 한다. 일자리와 서민들의 소득증대와 소비, 이를 토대로 한 투자확대와 더 많은 일자리를 통해 중산층이 두터워지고 저소득층에게도 복지의 손길이 모두 전해지는 ‘선순환 경제’를 지향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상생협력, 공정한 시장경제와 경제민주화도 함께 해야 한다.

 탐욕과 자본의 이익만을 위해 존재하는 공간과 고층건물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이 어울리고 문화와 역사가 살아 숨쉬는 도시 공간을 재창조해야 한다. 인간의 행복과 기본적 삶은 무시되고 건설자본과 정치인, 부패 공직가의 이익을 위해 추진되는 개발사업을 용납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운동을 펼치는 부산경실련이 될 것이다. 올해는 달라야 한다. 혁신해야 한다. 6.4지방선거를 통해 새로운 부산을 만들어 갈 수 있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슈&초점

Total 146건 1 페이지
이슈&초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6 [부산일보] 증원 찬성한 외과 전문의 “그런데 정부안엔 공공이 빠졌다”(2024.04.18.)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4-22 22
145 [서울경제] 의사 수입 많은 건 사실…의대 증원도 찬성” 의협 회장후보의 소신 발언 (2024.03.04.)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3-04 136
144 [김대래의 메타경제] 화합과 변화의 상공회의소를 기대한다 (2024.02.13.)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2-15 165
143 [부산일보]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에 부산 미래 달렸다 (2024.02.07.) - 도한영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2-15 166
142 [김대래의 메타경제] 아시아적 가치의 성찰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11-22 328
141 [오마이 뉴스] 서울 팽창주의 고집하는 여당, 뉴욕·파리·도쿄를 보라(23.11.09.) - 초의수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11-10 425
140 [김대래의 메타경제] 지역경제론의 배신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19 374
139 [김대래의 메타경제] 더 담대해져야 할 부산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2 428
138 [김대래의 메타경제] 미안합니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15 466
137 [김대래의 메타경제] 낙동강을 건너는 법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01 524
136 [김대래의 메타경제] 잘못된 정책의 나비효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1-10 595
135 [김대래의 메타경제] 공유지의 비극과 공공성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8-17 768
134 [기고] 시민 행복을 위한 35개의 제안 (김대래)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5-17 823
133 [김대래의 메타경제] 좋은 정책은 포장이 필요하지 않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4-13 832
132 [김대래의 메타경제] 공약은 지역에서 더 중요하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3-02 980
131 ‘부산 밸리’ 큰 그림 그려야 <김대래 신라대 글로벌경제학과 명예교수, 부산경실련 공동대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26 11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