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부산시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산항대교의 재협상에 적극 나서라!!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논평]부산시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산항대교의 재협상에 적극 나서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8-20 15:15 조회7,256회 댓글0건

본문

[지난 1년간의 부산항대교 유료운영 및 MRG보전에 대한 부산경실련의 입장]

 

부산시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산항대교의 재협상에 적극 나서라!!

 

부산항대교 유료화 1년이 지났지만 통행량은 계획 통행량의 절반 수준에 불과

MRG보전금으로 인한 예산낭비는 여전, 미연결된 접속도로로 인해 시민불편도 가중

부산시는 운영사의 부산항대교 지분매각을 기회로 재협상에 적극 나서야

 

오는 21일이면 부산항대교가 유료로 전환한지 1년이 되는 날이다. 부산항대교는 지난 2014522일 개통하였으며 약 3개월간의 무료운영기간을 거친 후, 지난해 821일 유료로 전환되었다.

 

부산항대교가 유료화한지 1년이 지났지만 영도방면 접속도로는 지난해 10월에서야 개통되었으며, 남구방면 동명오거리 지하차도는 아직도 공사 중에 있다. 동명오거리 지하차도의 개통이 당초 올해 안에 준공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내년 초로 늦춰지면서 부산항대교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불편은 계속되고 있다. 이와 같이 부산항대교가 유료화한지 1년이 되었지만, 접속도로의 미연결로 인한 시민들의 불편은 계속되고 있다.

 

또한 부산항대교의 계획통행량은 하루 평균 49,737대이고, 최소운영수입보장(MRG) 기준 통행량은 계획통행량의 80%39,870대이다. 하지만 1,400원의 통행료 징수를 시작한 이후 부산항대교의 하루 평균 통행량은 16천대에 불과했으며, 지난해 영도 쪽 접속도로가 개통된 이후 조금씩 증가해 현재 하루 평균 22천대 가량이 이용하고 있다.

 

이미 지난해 5개월의 운영기간 동안 발생된 MRG보전금액은 46억 원이었으며, 올해에도 100억 원이 넘는 금액을 보전해주어야 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직 연결이 안 된 접속도로로 인한 이용불편과 교통체증, 그리고 해마다 지급되는 MRG금액으로 인한 예상낭비까지 부산항대교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최근 부산항대교 운영사인 북항아이브릿지의 지분 66%를 보유한 현대산업개발이 이를 매각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운영사의 출자자 변경 승인 권한이 부산시에 있는 만큼, 지분을 매각하기 위해서는 현대산업개발은 운영과 관련한 재협상을 진행할 수밖에 없다.

 

부산시는 부산항대교의 운영에 대한 재협상의 기회를 맞은 만큼, 부산시민의 편익증진과 예산절감을 위한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지난 2013년 자본재조달을 통해 5조원의 예산을 절감한 거가대교의 사례를 참고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계기로 과도한 이익을 보장하는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전반적인 진단과 함께 시민들의 소중한 세금이 낭비되지 않도록 적극적인 재협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2015820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김대래 신용헌 원 허 이만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04건 40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0 외교통상부의 미 쇠고기 수입 추가협상에 대한 경실련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06-12 7267
479 분권국가 실현을 위한 경실련 전국분권운동본부 발족선언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3-21 7260
열람중 [논평]부산시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산항대교의 재협상에 적극 나서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8-20 7257
477 금융실명제 시행 20년에 대한 경실련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8-12 7255
476 대통령 탄핵소추 발의에 대한 부산시민연대의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4-03-10 7252
475 자치‧분권의 실현과 지속가능한 부산을 위한 4.13. 총선 활동을 선언하며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2-23 7250
474 [보도]부산시 재정운용의 총체적 부실 개선을 위한 핵심과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7249
473 [논평]민간은행의 자율권을 침해하는 금감원의 퇴임 요구는 철회되어야 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6-05 7246
472 부산시와 수자원공사는 에코델타시티 행정절차를 중지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5-22 7242
471 논평 - 8.21 부동산 정책 - 누구를 위한 정책인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08-22 7237
470 정부의 정수장학회 설립 허가 취소를 촉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9-22 7237
469 [보도]부산경실련 행·재정 및 경제분야 10대 뉴스 발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12-23 7210
468 동부산관광단지 테마파크는 사업 규모 축소가 아닌 국제 경쟁력 있는 테마파크가 되어야 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3-30 7207
467 해양수산부 부활 공약, 과거 반성부터 이루어져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4-02 7194
466 광복 60주년 특별사면 방침에 대한 경실련 논평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5-08-14 7192
465 사회적경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부산시의 사회적기업팀 해체를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01 7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