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투기지역 해제에 따른 부산경실련 입장'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성명] '투기지역 해제에 따른 부산경실련 입장'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08-10-22 09:32 조회7,315회 댓글0건

본문

                    경제 활성화에 역행하는 10.21 부동산 정책 재검토해야

  정부는 6.11 , 8.21 부동산 정책에 이어 10월 21일(화) 대형건설회사와 일부 투기수요를 위한 부
동산 정책을 발표하였다. 4조 3천을 투입하여 건설회사가 보유중인 주택용지를 매입하고, 건설사
의 미분양 물량을 사들이기 위하여 최대 2조원을 투입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주택수요를 부추기
기 위하여 수도권 일부지역의 투기지역 해제를 검토한다는 개발중심의 부동산 정책이 포함되어 있
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침체된 건설경기를 활성화시켜 경제위기에 놓인 한국경제의 돌파구를 찾겠
다는 의도로 보인다. 물론 경제를 살리기 위한 고민과 대책 마련은 당연히 제시되어야 하지만, 이
미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근시안적인 건설경기 부양책은 더 이상 경제 활성화의 대안이 아니다.
 
이미 세계경제위기의 중심에 있는 미국산 ‘비우량 주택 담보대출’로 인한 금융위기와, 과거 우리에
게 큰 교훈을 던져준 일본의 부동산 거품경제로 인한 집값 폭락 등은 부동산 건설경기 활성화를 통
한 경기 부양은 이미 실패한 사례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데도 불구하고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장기적인 마스터플랜을 마련하기보다는
근시안적이고 임시변통의 수단으로 일시적 경기부양조차 기대하기 어려운 이번 부동산 정책은 오
히려 경제위기를 부추기고 중소건설업자, 하청업자 그리고 서민들의 가계 부담을 가중시키는 결과
를 초래할 것이다.

이에 부산경실련은 자신들의 이익만을 위해 성장해왔던 건설사의 주택용지를 공적자금을 투입하
여 매입하는 것은 몇몇 대형건설회사의 배를 불리고, 그들의 도덕적 해이를 유발할 수 있음을 전달
한다.
또한 미분양물량 매입은 궁극적으로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안정을 위한 것이어야지, 일부 대형건설
업체들의 미분양 물량을 해소해주는 것이 목적이 된다는 것은 건설시장을 교란시키고, 중소건설업
체와 서민들에게 고통을 가중시킬 것이다.
마지막으로 수도권 일부지역으로 한정된 투기지역 해제이지만, 금융시장 위기를 겪고 있는 시점에
서 투기지역 해제는 일부 부동산 부자들의 1가구 다주택 소유자만 양산하는 기형적인 결과를 낳
을 수 있다.

이에 부산경실련은 이번 10.21 부동산 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촉구하며, 경제위기를 극복할 수 있
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것을 요구한다. 나아가 주택 공급이 초과된 우리나라의 부동산 정책이 향
후 서민들의 주거안정과 중소건설업체의 부도예방을 위한 현실적인 정책이 수립되기를 요구한다.





                                  2008년 10월 21일(화)
                              부산경실련 공동대표 김대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04건 39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96 부산시민연대 10대분야 공약발표 및 공약채택촉구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7316
495 [논평]한진해운 사태 ‘이익은 사유화 손해는 공유화’해서는 안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9-09 7309
494 [보도]부산시 06년 1회 추경예산안에 대한 의견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06-22 7308
493 해운대구 의정비심의위원회의 13% 인상에 대한 규탄 성명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7-10-30 7298
492 지자체 재정파탄으로 내몬 경전철 사업에 대한 책임 물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5-02 7296
491 [보도]종편 3사, 중앙지 홍보비 증액, 시정홍보인가? 시장보호인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6-16 7296
490 [보도]2년 반 동안 부산지역 기초의원 조례 제․개정 평균 1.1건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3-21 7294
489 [보도]부산경실련 2009년 18차 정기회원총회』개최에 따른 보도협조 요청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1-20 7293
488 4대강사업 제2탄, 에코델타시티는 더 이상 토건개발세력의 이익을 위한 사업이 되어서는 안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5-08 7292
487 고등법원 상고부 설치관련 법률의 개악에 따른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6-04-21 7292
486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는 범시민대책위원회’ 출범 선언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5-28 7290
485 [보도]부산시 2011년도 제1회 추경예산편성안에 대한 의견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1-05-11 7290
484 외교통상부의 미 쇠고기 수입 추가협상에 대한 경실련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8-06-12 7289
483 [보도]부산경실련 불법도박근절 캠페인 실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1-06-08 7289
482 부산시민연대 2013년 신년선언문과 사업계획 발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1-07 7288
481 [보도]구·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공개모집 비율 늘려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5-26 72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