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2)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2)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7-13 11:55 조회7,90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 발표

부산 소재 35개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이용실태 모니터링 결과 -

 

부산시 교육청 및 부산시 소재 34개 공공기관 대상 사회적기업 이용실태 조사

2014년 기준 전체 구매비율 0.8%, 부산시 및 지차체 평균(3.9%)1/4수준 불과

부산시 교육청 구매비율 0.3%, 사회적기업 진입장벽 높은 탓으로 보여

()부산복지개발원 14.54%, 동남지방통계청 6.91%, 부산정보산업진흥원 5.40%

부산지방해양수산청 0%, 부산지방기상청 0.01%, 국립해양조사원 0.02%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의 솔선수범 필요

 

1. 사회적기업육성 부산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에서는 지난 1일 발표한 부산시 및 16개 구·군 사회적기업 이용실태 모니터링 결과발표에 이어, 부산에 소재를 둔 35개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이용실태 모니터링 결과를 분석하였다.

 

2. 2차 조사의 대상은 부산시 교육청을 비롯한 부산시 11개 출자·출연기관과 5개 공기업, 부산으로 이전한 11개 공공기관과 부산항만공사 및 부산 소재 6개 지방청이 포함된다.

 

3. 부산시 교육청을 포함한 총 35곳의 공공기관의 2014년도 사회적기업의 평균 구매비율은 0.8%1%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시 및 16개 지자체 평균 3.9%와도 큰 격차를 보였다. 이는 지자체 평균의 1/4에 불과한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사회적기업 제품 및 용역서비스 이용에 소극적인 모습을 나타냈다.

 

4. 이 중 부산시 교육청의 2014년도 사회적기업 구매비율은 0.3%에 불과했으며, 이는 부산시 본청의 5.9%보다 5.6%p나 낮은 수치이다. 또한 부산시의 총 구매액보다 많은 예산을 집행하면서 사회적기업의 구매금액이 부산시의 1/4수준에 머무른 것은 아쉬운 대목이다.

 

5. 2014년 기준으로 사회적기업 제품 및 용역서비스 구매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부산복지개발원으로 전체의 14.54%의 구매비율을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 동남지방통계청 6.91%,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5.40%, 부산지방병무청이 4.75% 순으로 나타났다.

 

6. 반대로 부산지방해양수산청은 사회적기업 제품 및 용역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지방기상청 0.01%, 국립해양조사원 0.02%, 한국해양수산개발원 0.05% 순으로 이용이 매우 저조하였다.

 

7. 공공기관 유형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부산시 출자·출연기관의 평균 구매비율(2.34%)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 이전 공공기관(1.04%), 부산시 산하 공기업(0.82%), 부산항만공사 및 부산 소재 지방청(0.37%)순으로 나타났다.

 

8. 2015년 사회적기업 구매계획은 부산시 지자체의 계획과 달리 2014년도 구매금액대비 약 60%가 증가한 1004,700만원을 계획하고 있었으며, 23개 기관에서 전년도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증액된 구매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다.

 

9. 본 조사결과를 통해 기관별로 사회적기업 구매비율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평균적으로 부산시 출자·출연기관의 사회적기업 구매비율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른 기관의 평균은 1% 내외에 그쳐 사회적기업 제품 및 용역서비스 구매의 구색만 갖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0. 사회적기업 육성 및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우선구매를 독려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이 아직까지 나타나지 않고 있다. 하지만 앞으로의 사회적기업 제품 및 용역서비스에 대한 구매계획이 증가하고 있어 공공기관의 역할을 기대해 볼 수 있다. 앞으로 사회적경제 기본법의 제정이 진행되고 사회적경제에 대한 중요도가 커진 만큼,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여 사회적경제 기업의 제품을 우선구매함으로써 착한소비시장의 형성과 확대를 위한 노력해주길 기대한다.

 

[첨부]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이용실태(17p) .

 

2015713

 

사회적기업육성 부산네트워크

공동대표 김규옥 박종수 박영봉 김길구 김혜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47건 31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7 [논평]시민을 도박의 늪에 빠뜨리는 사행시설 추가 도입 반대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16 8209
열람중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2)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13 7906
665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1)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01 8441
664 사회적경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부산시의 사회적기업팀 해체를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01 8495
663 [보도]종편 3사, 중앙지 홍보비 증액, 시정홍보인가? 시장보호인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6-16 8940
662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는 범시민대책위원회’ 출범 선언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5-28 8708
661 [논평]부산시 근로자를 위한 생활임금 도입에 부산시가 적극 나서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5-07 10536
660 검찰은 삼정기업(주)의 더파크 내 대규모 불법 산림 훼손을철저히 조사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4-27 8040
659 동부산관광단지 비리의 철저한 수사와 재발 방지대책마련을 촉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4-14 10560
658 [논평]자본잠식 심각한 아시아드CC 공공성 살려 매각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5 9217
657 [논평]부산시가 롯데의 대변인인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0 8868
656 롯데그룹은 금산법 등 법위에 군림하겠다는 인터넷전문은행 추진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0 8970
655 [논평]하다 못해 이제 태종대까지 민간 개발?!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09 10717
654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를 폐쇄하는 일은 탈핵사회를 위한 우리 모두의 첫 번째 과제입니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03 9071
653 2015년 부산경실련 운동기조 및 주요사업 계획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11 9178
652 일반상업지역이 주거지로 전락, 비상식적인 지구단위계획변경 시도, 서병수 시장 시대에도 계속되나? 댓글+1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05 14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