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1)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1)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7-01 17:28 조회8,419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 발표

- 부산시 및 16개 구·군 사회적기업 이용실태 모니터링 결과 -

2013년도 부산 평균 구매비율은 2.5%에 불과, 경기 5.4%의 절반 수준에 불과

2014년 전년도보다 평균 구매비율 1.4%p 늘었지만, 2개 지자체는 1%도 못 미쳐

사상구, 사회적기업 구매비율 9.4%로 가장 높아

2015년 사회적기업 구매계획은 다소 줄어, 46200만 원에 불과

1. 사회적기업육성 부산네트워크(이하 네트워크)에서는 지난 6월 한 달 동안 부산시 및 16개 구·, 부산시 출자·출연기관 및 부산으로 이전한 공공기관과 부산시 소재 지방청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 물품 및 용역에 대한 이용실태에 대한 정보공개청구를 실시하였다.

2. 이번 조사결과에서 부산시 및 16개 구·군의 2013년도 사회적기업 구매비율은 2.5%에 불과했으며, 이는 지난해 발표된 경기도 및 31개 시·군의 사회적기업 구매비율 5.4%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3. 2013년도 기준으로 부산시 본청과 경기도 본청을 비교한 결과, 오히려 구매비율은 부산시가 3.6%로 경기도의 2.4%보다 1.2%p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산시는 사회적기업의 제품을 우선구매 하는데 136,500만 원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 2014년 기준으로 부산시 및 16개 구·군의 평균 구매율이 3.9%1.4%p 상승하였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사상구가 9.35%의 사회적기업 구매율을 보이는 것과 달리 3%에도 미치지 못하는 지자체가 8곳이 있으며, 영도구와 사하구는 사회적기업 구매비율이 1%도 되지 않았다.

6. 최근 사회적경제기본법의 제정을 앞두고 있으며, 착한소비와 사회적경제 활성화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부산시 및 16개 구·군의 2015년도 사회적기업 구매계획 금액이 전년도 실적대비 8.1%가 감소한 46200만원으로 책정된 것은 다소 아쉬움이 남는다.

7.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 관련 조례를 정비하고 공공기관이 솔선수범하여 사회적기업 제품구매 비중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사회적기업과 시민들이 만남의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사회적기업 이용실태(10p.) .

201571

사회적기업육성 부산네트워크

공동대표 김규옥 박종수 박영봉 김길구 김혜경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46건 31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6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2)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13 7896
열람중 2015 부산지역 공공기관 시화적기업 이용실태(1)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01 8420
664 사회적경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부산시의 사회적기업팀 해체를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01 8482
663 [보도]종편 3사, 중앙지 홍보비 증액, 시정홍보인가? 시장보호인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6-16 8923
662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는 범시민대책위원회’ 출범 선언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5-28 8692
661 [논평]부산시 근로자를 위한 생활임금 도입에 부산시가 적극 나서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5-07 10511
660 검찰은 삼정기업(주)의 더파크 내 대규모 불법 산림 훼손을철저히 조사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4-27 8022
659 동부산관광단지 비리의 철저한 수사와 재발 방지대책마련을 촉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4-14 10538
658 [논평]자본잠식 심각한 아시아드CC 공공성 살려 매각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5 9200
657 [논평]부산시가 롯데의 대변인인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0 8862
656 롯데그룹은 금산법 등 법위에 군림하겠다는 인터넷전문은행 추진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0 8943
655 [논평]하다 못해 이제 태종대까지 민간 개발?!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09 10699
654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를 폐쇄하는 일은 탈핵사회를 위한 우리 모두의 첫 번째 과제입니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03 9051
653 2015년 부산경실련 운동기조 및 주요사업 계획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11 9161
652 일반상업지역이 주거지로 전락, 비상식적인 지구단위계획변경 시도, 서병수 시장 시대에도 계속되나? 댓글+1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05 14220
651 중앙정부의 복지공약책임 전가하는 지방재정 희생양 기도 즉각 중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05 86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