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평]무분별한 복지마피아 증가 폐해에 대한 근본 대책 마련해야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논평]무분별한 복지마피아 증가 폐해에 대한 근본 대책 마련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1-21 11:59 조회9,487회 댓글0건

본문

[복지마피아 근절대책 마련 촉구 부산경실련 논평]

 

무분별한 복지마피아 증가 폐해에 대한 근본 대책 마련해야

- 시청 및 구군에서 근무한 퇴직 공무원이 사회복지시설장으로 취업 사례 증가

공직자윤리위원회 기능 강화로 퇴직공무원의 직업 선택권의 보장 및 투명성 확보 필요

 

최근 부산지역 언론을 통해 퇴직공무원이 사회복지시설 시설장으로 취업하는 이른바 복지마피아에 대한 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퇴직 공무원의 사회복지시설 장으로서 재취업으로 인해 사회복지학을 전공하고 사회복지시설의 시설장이 되기 위해 공부하고 노력해오는 사회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이 제한되어 있는 사회복지시설의 장이 될 수 있는 희망을 앗아가고 있다. 이는 사회복지현장의 우수한 인재들의 사회복지현장 이탈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분명 사회복지현장에는 오랜 기간 사회복지현장을 담당했고 사회복지 정책과 행정을 정확하게 잘 이해하고 있는 퇴직 공무원이 사회복지현장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가보조금과 후원금으로 운영되는 사회복지시설의 종사자들 중 일부는 법과 지침의 미숙지와 행정적 처리의 미숙으로 인해 과오를 범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행정적 보완을 위해 매우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일부 사회복지법인에서 퇴직 공무원의 시설장 임명을 통한 순기능적인 부분을 벗어난 법인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전체를 흐려 놓는 경우가 있다.

 

공직자의 부정한 재산 증식을 방지하고, 공무집행의 공정성을 확보하는 등 공익과 사익의 이해충돌을 방지하여 공직자의 윤리를 확립하기 위해 공직자윤리법이 제정시행되고 있다. 이 법 제9조에는 정부지방자치단체 및 광역시도를 포함한 모든 곳에 공직자윤리위원회를 두도록 되어 있으며, 동법 제18조에 따른 취업제한 여부의 확인 및 취업승인을 하도록 되어 있다. 사회복지사업법 제35조에는 사회복지분야의 6급 이상 공무원으로 재직하다 퇴직한 지 2년이 경과하지 아니한 사람 중에서 퇴직 전 3년 동안 소속하였던 기초자치단체가 관할하는 시설의 장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시설장을 할 수 없다는 제한을 두고 있으나, 이러한 법이 정한 범위를 벗어나 퇴직 이후 재취업하는 공무원의 수가 베이비붐 세대 공무원의 퇴직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부산시는 언론을 통해 지적되고 있는 복지마피아의 무분별한 증가로 인한 폐해를 근절할 수 있는 근본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퇴직공무원의 시설장 임용에 대해 무조건적인 금지가 아니라, 관련 법 개정과 함께 부산광역시의 공직자윤리위원회의 기능을 강화하여 사회복지의 순기능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2016121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김대래 신용헌 원 허 이만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47건 30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논평]무분별한 복지마피아 증가 폐해에 대한 근본 대책 마련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1-21 9488
682 [보도]시민들의 승리, 고리1호기 폐로라는 큰 성과 이뤄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2-22 8571
681 [논평]공개원칙도 지켜지지 않는 정보공개청구 시스템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2-03 7869
680 [보도]시정홍보에만 매달리는 예산 편성 자제하고 사회적 경제 활성화를 위한 예산 등 증액 필요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2-02 8411
679 ‘사회적기업’ 들어본 적 있다 35%, ‘공유경제’는 5.2% 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1-30 9984
678 [보도]제7대 부산시의원 1년차 100점 만점에 평균 69.8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1-24 8306
677 [보도]제7대 부산시의원 1년차 출석, 발언 등 정량부분 대체로 양호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1-23 8208
676 조명탑 교체 비용 20억 원이 없어 15년간 20억 원에 팔아넘긴 사직야구장 네이밍권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1-11 9062
675 [보도]2014년 결산기준 부산시 재정정자립도 ‘45.6%’, 재정자주도 ‘61.0%’, 갈수록 악화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1-11 7989
674 [논평]불꽃축제 유료화 수입, 시 예산 부담 줄이는데 사용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0-21 8881
673 [보도]부산시의 부실한 관리·감독과 무책임한 행정에 대한 공익감사를 청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0-13 7972
672 [논평]광안대교 통행료 감면혜택은 시민 모두에게 돌아가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10-12 9052
671 좋은롯데 만들기 부산운동본부 출범 기자회견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9-17 9422
670 [논평]부산시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산항대교의 재협상에 적극 나서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8-20 8896
669 정부와 교육부는 돈줄로 대학 옭아매기 그만두고, 대학 민주주의 보장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8-20 7928
668 [보도]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제7대 부산시의회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7-27 8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