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의 복지공약책임 전가하는 지방재정 희생양 기도 즉각 중단하라!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중앙정부의 복지공약책임 전가하는 지방재정 희생양 기도 즉각 중단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2-05 14:56 조회7,149회 댓글0건

본문

중앙정부의 복지공약책임 전가하는

지방재정 희생양 기도 즉각 중단하라!  

 

중앙정부의 복지공약책임 전가하는 지방재정 희생양 기도 즉각 중단하라!

3세에서 5세까지 보육비를 지원하는 누리과정의 올해 예산부담을 지방교육청에 떠넘기려는 정부의 시도 때문에 엄청난 대립과 갈등 끝에 한시적인 지방채 발행으로 당장의 급한 불은 끈 상태이다.

그런데 교육부가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을 개정해 누리과정 예산을 지방의 부담으로 공식화하는 법적인 장치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거기에다 감사원은 느닷없이 무상보육 무상복지 등과 관련하여 지방정부와 교육청 등에 대한 감사 실시를 밝히고 나섰다.

저출산 고령화사회로 급속하게 나아가고 있는 우리사회의 복지수요는 급격히 늘어날 수밖에 없다. 여기에 소요되는 재정은 기본적으로 국가차원, 중앙정부의 몫이고 책임임은 자명하다.

최근 여당에서도 복지지출의 확대와 그에 따른 증세논의가 나오고 있는 것만 보아도 국가의 책임, 중앙정부차원의 부담이 당연한 것이다.

더욱이 우리의 복지지출은 OECD국가 중에서도 최하위에 머물러 있는 상황에서 갈수록 재정자립도가 떨어지고 있는 지방에 그 부담을 줄이기는커녕 더 가중시키려고 하는 것은 중앙정부가 사실상 보육지원 등 복지를 축소하거나 철회하겠다는 의사로 밖에 볼 수 없다.

지난달 박근혜 대통령이 지방교부세와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축소조정을 시사하는 언급을 한 후 기다렸다는 듯 중앙정부가 구체적인 작업을 추진하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며 국민의 지탄을 받을 일이다.

따라서 중앙정부는 보육예산, 복지부담의 무책임한 지방 전가 시도를 즉각 중단하고 지방소비세 인상 등 지방재정 확충에 나설 것을 촉구한다.

아울러 여·야와 국회도 지방재정 위기의 타개를 위해 적극 나설 것을 촉구한다.

우리는 앞으로 정부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면서 지방정부, 교육청, 전국의 시민사회단체 등과 연대하여 강력히 대응해나갈 것임을 천명한다.  

 

2015. 2. 5.

 

균형발전지방분권 부산시민사회연대

(약칭. 지방분권 부산연대)

공동대표 김길구김대래김홍식박수자박인호박재율정경숙조정희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04건 29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56 롯데그룹은 금산법 등 법위에 군림하겠다는 인터넷전문은행 추진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0 7172
655 [논평]하다 못해 이제 태종대까지 민간 개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09 9155
654 고리1호기와 월성1호기를 폐쇄하는 일은 탈핵사회를 위한 우리 모두의 첫 번째 과제입니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03 7347
653 2015년 부산경실련 운동기조 및 주요사업 계획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11 7451
652 일반상업지역이 주거지로 전락, 비상식적인 지구단위계획변경 시도, 서병수 시장 시대에도 계속되나? 댓글+1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05 12209
열람중 중앙정부의 복지공약책임 전가하는 지방재정 희생양 기도 즉각 중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2-05 7150
650 사회적기업, 이미지는 양호하지만 접할 기회가 적어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1-21 7879
649 [논평]귀족동물원에 부산시의 특혜가 왜 필요한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1-05 7367
648 [논평]위인설관이 되지 않기를 바란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2-10 7076
647 [보도]영구임대주택 난방비 지원, 방사능방재 훈련 경비 등 증액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2-10 6996
646 [논평]머슴이 주인 쫓아낸 기장군의회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2-09 7094
645 부산시민연대 행정사무감사 모니터링 결과 발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1-25 7872
644 [논평]투자를 위장한 투기열풍, 부산시는 대책을 마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1-06 7508
643 [논평]부산시는 부산항대교 MRG 부담 해소를 위해 보다 적극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0-16 7686
642 부산시민의 안전을 위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촉구한다. 댓글+1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0-06 7193
641 [논평]부자와 강남 3구만을 위한 9.1 부동산 대책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9-03 7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