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구·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공개모집 비율 늘려야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보도]구·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공개모집 비율 늘려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5-26 13:45 조회8,993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부산시 및 구·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구성현황에 대한 부산경실련 입장]

 

구·군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공개모집 비율 늘려야

강서구 16명 중 당연직 6명, 공개모집은 5명 뿐, 위원회 자율성 보장 못해
영도구와 수영구도 25명 중 5명만 공개모집, 20명이 당연직 및 추천인원
부산시(70%) 및 해운대구(64%)에 비해 대부분의 구·군 실제 공모비율 턱없이 낮아
위원회의 민주성과 투명성을 위해 공개모집 통한 자발적 참여 늘려야

 

올해 부산지역 지자체 대부분이 주민참여예산위원의 임기가 끝나, 신임위원의 모집을 했거나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지난 10일 부산시는 제3기 주민참여예산위원회를 출범하였다. 이번 제3기 부산시 주민참여예산위원회에는 50명의 신임위원을 선정했는데, 140명이 공개모집에 신청해 높은 경쟁률을 나타냈다. 하지만 부산지역 각 구·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는 사정이 달랐다.

현재 각 구·군에서 운영하고 있는 주민참여예산위원회는 대부분 2년 연임제의 임기를 적용하며, 각 구·군의 조례에 의해 총 인원과 위원자격에 대해 규정되어 있다. 다만 각 구·군별로 공개모집을 통해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조금씩 달랐다.

당연직 또는 전문가 추천배분 없이 민간위원으로만 구성된 곳은 기장군, 동래구, 해운대구 3곳에 불과했으며, 전체 인원 중 공모비율이 높은 곳은 금정구(67%), 중구(67%), 해운대구(64%) 등이었다. 하지만 중구의 경우 올해 처음으로 공모를 통해 민간위원 10명을 모집할 계획이어서, 그동안 전체 인원 중 60%이상을 공모를 통해 선발했던 곳은 2곳에 불과했다.

남구, 동구, 동래구, 부산진구, 북구 등 5곳은 공개모집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지만, 실제 구·군의 주민참여도가 매우 저조하여 대부분의 위원을 주민센터 등의 추천을 통해 구성하고 있었다. 동래구의 경우 49명 중 7명이 공모를 통해 선임되었으며, 북구도 13명 중 공개모집을 통해 선임된 위원은 4명에 불과했다.

                         <각 지자체별 주민참여예산위원회 구성현황>
                                                                                                                          (인원 : 명)

구분

총 인원

당연직

전문가

비영리단체

구군(부산시)
/주민센터(구군)

공개모집

비고

부산시

100

7 ( 7%)

7 ( 7%)

-

16 (16%)

70 (70%)

완료

강서구

14

6 (43%)

1 ( 7%)

-

2 (14%)

5 (36%)

완료

금정구

30

5 (17%)

5 (17%)

-

-

20 (67%)

완료

기장군

15

-

-

-

10 (67%)

5 (33%)

완료

남구

27

5(19%)

5 (19%)

-

17 (63%)

모집중

동구

18

5 (28%)

2 (11%)

1 ( 6%)

10 (56%)

계획

동래구

49

-

-

-

49 (100%)

계획

부산진구

29

1 ( 3%)

-

-

28 (97%)

계획

북구

21

5 (24%)

3 (14%)

-

13 (62%)

완료

사상구

25

5 (20%)

3 (12%)

-

17 (68%)

모집중

사하구

25

5 (20%)

3 (12%)

-

11 (44%)

6 (24%)

모집중

서구

30

-

-

4 (13%)

13 (43%)

13 (43%)

모집중

수영구

25

5 (20%)

2 ( 8%)

3 (12%)

10 (40%)

5 (20%)

완료

연제구

28

2 ( 7%)

-

-

12 (43%)

14 (50%)

완료

영도구

25

5 (20%)

4 (16%)

-

11 (44%)

5 (20%)

완료

중구

15

5 (33%)

-

-

-

10 (67%)

계획

해운대구

50

-

-

-

18 (36%)

32 (64%)

완료

 

또한 민간위원(공개모집 및 주민센터 추천)을 제외한 당연직, 전문가 및 비영리단체 추천인사 등의 비율은 강서구가 14명 중 7명으로 전체위원의 50%로 구성했으며, 동구가 전체 18명 중 44%인 8명으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수영구도 전체 25명 중 40%인 10명을 당연직 등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강서구는 전체 14명 중 6명이 공무원으로 16개 구·군 중 공무원의 위원참여가 가장 많았다. 공개모집의 비율이 가장 낮았던 곳은 수영구와 영도구 2곳으로 전체 25명 중 공개모집 인원은 5명(20%)에 불과했다.

이와는 달리 부산지역 기초 지자체 중 주민참여예산위원회가 가장 잘 운영된다는 해운대구의 경우 총 인원 50명 전원이 주민으로 구성되었으며, 이중 전체의 64%인 32명이 공개모집을 통해 위원으로 선임되었다. 부산시의 경우도 임기는 1년으로 줄었지만, 당연직 및 전문가의 비율을 줄이고 총 인원 100명 중 70명을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한 공개모집을 통해 선임하였다.

각 구·군에서는 공개모집에 대한 어려움을 말하고 있지만, 참여민주주의의 대표적 제도인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취지를 살리고, 주민참여예산위원들의 자율성과 민주성,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당연직 및 추천인사에 대한 배분을 줄이고, 주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반드시 높여야 한다. 또한 부산시를 중심으로 각 지자체와 연계한 주민참여예산제도 홍보 캠페인 등 위원회의 역할을 알리고 시민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이고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2016년 5월 26일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김대래 원 허 이만수 방성애 한성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47건 28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5 한진해운 사태는 기업구조조정에 대한 정부의 무능과 무책임의 극치를 보여준 사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9-09 8120
714 [보도]부산시 지방세수 늘어도 국비의존은 여전, 재정자립도 낮아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9-08 7946
713 [논평]오픈카지노, 부산의 미래는커녕 시민을 도박의 늪으로 끌어들일 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8-12 8373
712 영도구청은 절영로 대형식당 앞 특혜성 주차장 공사에 대해 해명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15 10394
711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민선6기 부산시정2년 평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14 9293
710 최저임금위원회는 내년도 최저임금 최소 13% 이상 인상을 즉각 결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12 8339
709 사드 배치는 막대한 폐해와 사회경제적 비용 유발할 것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12 8242
708 박근혜 정부는 민중을 개·돼지로 비하한 나향욱 교육부 정책기획관 즉각 파면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12 7821
707 롯데백화점 부산본점 지하1층 붕괴 사고에 대한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07 12209
706 최저임금위원회는 국민적 요구인 시급 1만원 실현의 첫 단계로 최소 13%이상 인상을 조속히 결정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7-04 8501
705 서병수 시장은 가덕 신공항 백지화에 정치적 책임을 져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6-29 8440
704 [보도]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이용 비율, 2.08%에 불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6-28 8380
703 최저임금 1만원 실현을 위한 최저임금위원회의 결단을 촉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6-27 8171
702 [보도]불필요한 홍보예산 증액 여전, 시민소통은 하지 않고 홍보에만 열중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6-16 9385
701 [논평]시민을 대표하는 부산시의회 의장 선출, 밀약이 아니라 민주적 절차를 따라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6-09 8141
700 새로 임명될 정무특보는 시민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인물이 되어야 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6-07 11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