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부산지역 전경련 회원사 14개 기업에 대한 회원 탈퇴의사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보도]부산지역 전경련 회원사 14개 기업에 대한 회원 탈퇴의사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3-23 10:48 조회5,95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부산지역 전경련 회원사 14개 기업에 대한 회원 탈퇴의사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부산경실련, 전경련 해체 운동에 나서

부산지역 전경련 회원사 14개 기업에 대한 공개질의서 발송

전경련 탈퇴의사에 대한 답변 45()까지 요구

 

1. 전경련은 정관 제1조에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 구현과 우리 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함을 설립목적으로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전경련은 본연의 설립목적에서 벗어나 1988년 일해재단 자금 모금, 1995년 대선 비자금 제공, 1997년 세풍사건, 2002년 불법 대선자금 사건을 비롯해 지난해 어버이연합 우회지원과 미르·K스포츠 재단 사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나 국민적 공분의 대상이 되었다.

 

2. 전경련은 이미 수차례나 정경유착 사건에 연루된 전력이 있기에 국민여론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으며, 광장을 가득 메웠던 촛불민심에서는 전경련 해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가득했다. 또한 삼성을 비롯한 LG, SK, 현대차그룹 등 4대 그룹과 포스코까지 전경련을 공식 탈퇴하였다.

 

3. 전경련의 정격유착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헤리티지재단과 같은 싱크탱크로 변화시키자는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나, 다양한 방법과 경로를 통해 정경유착을 계속할 가능성은 얼마든지 열려있다. 싱크탱크로 변신해도 특정세력만은 위한 정책생산과 제도화에 몰두한다면 결국 새로운 유형의 정경유착으로 귀결될 것이다.

 

4. 따라서 4대 그룹과 포스코가 이미 탈퇴를 한 전경련의 회원사로 남아있는 것은 상황만 바뀌면 언제든지 전경련의 정경유착에 동조하겠다는 의미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부산경실련은 전경련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부산지역 14개 기업을 대상으로 전경련 회원사 탈퇴의사를 묻는 공재질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답변은 201745일 수요일까지 회신을 요청하였으며, 회신결과는 추후 공개할 것이다.

 

1. 부산지역 전경련 14개 회원사 (`1412월말, 전경련 사업보고서 기준)

 

업 체 명

제조업체 (8)

고려제강, 르노삼성자동차, 세운철강, 태웅, 한국주철관공업,

한진중공업, 화승, S&T모티브

운수업체 (1)

천일정기화물자동차

도소매업 (1)

서원유통

금융기관 (2)

한국거래소, 부산은행

기타 단체 (2)

기술보증기금, 한국선급

 

첨부 : 전경련 탈퇴에 대한 공개질의서 2p .

 

 

2017323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원 허 이만수 한성국 조용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04건 24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6 부산시 산하 공사 공단 임원 인사의 개혁을 요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3 6662
열람중 [보도]부산지역 전경련 회원사 14개 기업에 대한 회원 탈퇴의사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3 5956
734 삼정 더파크 동물원 사태는 부산시의 불법행정과 삼정기업의 초법적 행위의 합작품이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2 6408
733 변죽만 울린 엘시티 수사, 전면 재수사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08 6693
732 불법적 특혜 인허가 드러난 엘시티 공사 즉시 중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2-15 8000
731 산업통상자원부는 즉각 전경련 설립허가를 취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2-07 6424
730 [보도]송도해상케이블카 복원사업에 대한 공익감사청구 진행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1-24 6842
729 [논평] 부산 소재 대형유통업체! 현지법인화로 ‘진짜 부산기업’ 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1-09 6525
728 경실련은 인명진 前공동대표의 <경실련규약> 및 <경실련 윤리행동강령> 위반에 대하여 <영구제명>을 결정하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2-26 6981
727 [보도]올해도 “안전”, 경주 지진 이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목소리 높아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2-22 6847
726 [논평]신세계백화점의 부산사랑, 현지법인화로 증명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2-08 6842
725 [보도]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등 24개 사업 집중심의 요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30 6974
724 대형유통점 현지법인화 공약 이행 않는 서병수 시장을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15 7391
723 [논평]부산시와 북항아이브릿지(주)는 부산항대교 운영방식 변경협상에 즉각 나서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10 8132
722 박근혜 대통령은 국기문란, 국정농단의 몸통이기에 국민 앞에 고백하고 즉각 수사에 임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02 6939
721 GMO완전표시제, GMO없는 학교급식, GMO 프리를 선언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0-20 8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