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즉각 전경련 설립허가를 취소하라!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산업통상자원부는 즉각 전경련 설립허가를 취소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2-07 13:43 조회6,423회 댓글0건

본문

산업통상자원부는 즉각 전경련 설립허가를 취소하라!

 

전경련은 우리경제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는 즉각 청산되어야 할 정경유착의 창구이다. 1961년 창립될 때부터, 정경유착을 목적으로 정권과 재계의 합작으로 설립되었다. 이후 정치개입을 통해 국론분열과 부패를 일삼아 왔다. 이로 인해 우리사회는 경제민주화라는 공익적 가치가 심각히 훼손되었다. 결국 소수재벌들로의 경제력 집중이 이어져, 경제양극화는 심화되었고, 국가 경제는 성장 동력을 잃어 버렸다. 전경련의 관리·감독 주무관청인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현재까지 드러난 정경유착, 정치개입, 부패 사건만으로도 설립허가취소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에 경실련은 산자부에 대해 다음과 같이 요구한다.

 

첫째, 산자부는 전경련의 설립허가 취소 절차에 즉각 나서라!

전경련은 정관 제1조에는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 구현과 우리 경제의 국제화 촉진라고 설립목적이 명시되어있다. 하지만 전경련은 설립목적을 위반하여 미르·K스포츠재단 불법모금 및 직접지원, 보수단체 지원을 통한 국론분열 등 공익성을 심각히 훼손시켰다. 민법 제38(법인의 설립허가의 취소)에는 법인이 목적 이외의 사업을 하거나 설립허가의 조건에 위반하거나 기타 공익을 해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주무관청은 그 허가를 취소할 수 있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그렇다면 주무관청인 산자부가 즉각적인 설립허가취소에 나서야 함이 마땅하다.

둘째, 산자부가 불법사실이 드러난 단체의 설립허가 취소에 나서지 않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이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및 그 소속 청장 소관 비영리법인의 설립 및 감독에 관한 규칙9(설립허가의 취소)에는 주무관청은 민법38조에 따라 법인의 설립허가를 취소하려면 청문을 하여야 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다. 결국 민법 제38조를 위반한 전경련에 대해서는 산자부가 설립허가 취소를 위해 우선적으로 청문에 나서야 한다. 하지만 주형환 장관이 국회 에서 밝힌 바 있듯이, 산자부는 전경련 개혁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전경련 해체 문제는 자발적 결정으로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헌법에 보장된 결사의 자유제한을 언급하며,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어 전경련 해체에 대해 부정적이다. 산자부가 손을 놓고 있는 상황에서 전경련은 해산 의사가 전혀 없이, 모양만 바꾸려고 하고 있다. 산자부가 이러한 전경련을 내버려 두는 것은 명백한 직무유기이다.

 

작년 12월 재벌총수들의 청문회에서 삼성, 현대차, LG, SK 그룹 총수들은 회원사 탈퇴의향을 밝혔다. LG12월 말 4개 그룹 중 처음으로 탈퇴를 했으며, 삼성은 당분간 회비를 납부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견지하다가, 그룹 핵심 계열사인 삼성전자가 어제 공식탈퇴를 선언했다. SK그룹은 탈퇴시기를 조율하고 있고, 현대차는 회비 납부를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도되었다. 재벌 회장단조차도 전경련의 존재목적을 부정하는 것이다. 국민들은 작년 말부터 촛불집회를 통해 계속해서 전경련 해체를 강력히 촉구하며, 정경유착 근절을 통해 부패가 청산되길 갈망하고 있다. 정부는 이러한 국민들의 목소리를 겸허히 수용하여, 즉각 행동에 나서야 한다. 그것이 우리사회의 경제정의를 바로 세우는 길이다.

 

201727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04건 24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36 부산시 산하 공사 공단 임원 인사의 개혁을 요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3 6662
735 [보도]부산지역 전경련 회원사 14개 기업에 대한 회원 탈퇴의사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3 5955
734 삼정 더파크 동물원 사태는 부산시의 불법행정과 삼정기업의 초법적 행위의 합작품이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2 6407
733 변죽만 울린 엘시티 수사, 전면 재수사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08 6693
732 불법적 특혜 인허가 드러난 엘시티 공사 즉시 중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2-15 7999
열람중 산업통상자원부는 즉각 전경련 설립허가를 취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2-07 6424
730 [보도]송도해상케이블카 복원사업에 대한 공익감사청구 진행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1-24 6841
729 [논평] 부산 소재 대형유통업체! 현지법인화로 ‘진짜 부산기업’ 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1-09 6524
728 경실련은 인명진 前공동대표의 <경실련규약> 및 <경실련 윤리행동강령> 위반에 대하여 <영구제명>을 결정하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2-26 6981
727 [보도]올해도 “안전”, 경주 지진 이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목소리 높아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2-22 6847
726 [논평]신세계백화점의 부산사랑, 현지법인화로 증명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2-08 6842
725 [보도]부산원아시아페스티벌,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원 등 24개 사업 집중심의 요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30 6973
724 대형유통점 현지법인화 공약 이행 않는 서병수 시장을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15 7391
723 [논평]부산시와 북항아이브릿지(주)는 부산항대교 운영방식 변경협상에 즉각 나서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10 8132
722 박근혜 대통령은 국기문란, 국정농단의 몸통이기에 국민 앞에 고백하고 즉각 수사에 임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1-02 6939
721 GMO완전표시제, GMO없는 학교급식, GMO 프리를 선언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10-20 80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