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2년 반 동안 부산지역 기초의원 조례 제․개정 평균 1.1건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보도]2년 반 동안 부산지역 기초의원 조례 제․개정 평균 1.1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3-03-21 13:30 조회6,987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부산지역 6대 기초의원 조례 제․개정 및 공개 현황 조사 결과]

2년 반 동안 부산지역 기초의원 조례 제․개정 평균 1.1건

조례 관련 정보를 홈페이지에 공개하지 않고 있는 기초의회도 네 곳이나

부산경실련은 2011년 부산지역 국회의원 평가, 2012년 부산시의원 의정활동 평가에 이어, 올해에는 부산지역 6대 기초의원에 대한 의정활동 평가를 준비 중에 있다. 부산경실련은 부산지역 기초의회의 회의록을 수집하여 출석률과 발언수를 집계하고, 의원별 조례 제․개정 현황도 조사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부산경실련은 이와 같은 부산지역 기초의원들의 정량평가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지난 2월 말부터 부산지역 6대 기초의회의 조례 제․개정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부산지역 16개 기초의회 홈페이지를 방문 조사하였다.

조사 시작 시점인 2월 말에 홈페이지를 통해 조례 내용 및 대표 발의를 비롯한 조례 관련 정보를 자세히 제공하고 있는 기초의회는 기장군의회, 남구의회, 사하구의회, 부산진구의회 등 5~6곳에 불과하였다. 부산경실련의 기초의회 조례 공개 현황 조사가 시작된 이후, 다른 기초의회에서도 홈페이지를 통해 관련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시작하여, 3월 19일 현재 홈페이지를 통해 조례 제․개정 관련 정보를 알 수 있는 기초의회는 12곳이다. 이는 아직도 조례 관련 정보를 홈페이지에 공개하지 않고 있는 기초의회가 네 곳이나 된다는 뜻이기도 하다.

지역주민들이 지역을 위해 일해 달라고 선출한 기초의원들이 의회에서 어떤 활동을 하는지 지역주민들이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기초의회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것이 마땅하다. 아직 홈페이지를 통해 조례 관련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있는 일부 구의회에서는 현재의 홈페이지 프로그램에 문제가 있으며, 홈페이지 개편 예산이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기도 한다. 하지만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조례안의 내용 등에 대한 정보는 매우 중요한 정보이며, 이는 홈페이지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당연히 공개해야 할 것이다.
 
부산경실련이 부산지역 6대 기초의원이 발의한 조례 제정 및 개정 현황을 조사해 본 결과, 부산지역 16개 기초의원이 지난 2년 6개월 동안 발의하여 제정이나 개정한 조례는 모두 195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산지역 기초의원 181명이 지난 2년 6개월 동안 평균 1.1건의 조례를 발의하여 제정 및 개정하였다는 의미이다.

이번 조사 결과 기초의회 별 의원 발의 조례의 제․개정 건수의 편차가 무척 심했다. 의원 발의 조례 제정 및 개정이 가장 많은 기초의회는 남구의회로 총 34건이었으며, 다음이 총 26건인 수영구의회였다. 이를 기초의회 별 의원 수로 나눠보면 기초의원 1인당 발의하여 제․개정한 조례가 가장 많은 기초의회는 1인당 평균 3.3건인 수영구의회였으며, 다음은 평균 2.3건인 남구의회였다. 반대로 의원 발의 조례 제정 및 개정이 가장 적은 기초의회는 강서구의회로 총 3건이었으며, 다음은 금정구의회와 서구의회가 각 5건에 그쳤다.

또한 의원 발의 조례에는 주민의 생활과 직접적 관련이 거의 없는 의회운영과 관련된 조례도 상당수 포함되어 있는데, 이를 빼면 기초의원 1인당 0.8건의 조례를 발의하여 제․개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서구의회는 의원발의 조례 3건 모두 의회운영과 관련된 조례로, 이를 제외하고 나면 지난 2년 6개월 동안 단 한 건의 의원발의 조례의 제․개정이 없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로 2012년 부산경실련이 실시한 2012년 부산시의원 의정활동 2년 평가 당시 평가대상 49명의 부산시의원이 2년간 발의한 조례의 수는 101개로 1인당 2.1개였으며, 2011년 부산지역 18대 국회의원 의정활동 3년 평가 당시 의원별 법안 대표발의는 1인당 평균 30.2건이었고, 이 중 1.4건의 법안이 가결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회와 달리 기초의회의 경우 의원이 발의한 조례는 대부분 통과되는 관행을 고려해 볼 때, 국회의원과 부산시의원에 비해 부산지역 기초의회원의 조례 발의 건수가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의회를 두고 있는 이유는 집행부에 대한 견제와 감시를 위해서이며, 의회의 가장 중요한 역할이 바로 입법기능이다. 효율성을 이유로 조례의 제정과 개정을 집행부에 일임하고, 의회는 집행부가 만든 조례에 대한 심의만 한다면 이는 의회의 존재 목적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주민의 대표로 선출된 기초의회 의원 스스로 주민생활과 관련된 조례의 제정과 개정에 적극 나서는 것이 주민이 대의기구인 기초의회의 역할을 다하는 것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2013년 3월 21일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김대래 범 산 신용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802건 23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0 분권국가 실현을 위한 경실련 전국분권운동본부 발족선언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3-21 7028
449 동부산관광단지 테마파크는 사업 규모 축소가 아닌 국제 경쟁력 있는 테마파크가 되어야 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3-30 7020
448 4대강사업 제2탄, 에코델타시티는 더 이상 토건개발세력의 이익을 위한 사업이 되어서는 안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5-08 7019
447 자치‧분권의 실현과 지속가능한 부산을 위한 4.13. 총선 활동을 선언하며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6-02-23 7009
446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는 범시민대책위원회’ 출범 선언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5-28 7004
445 [논평]부산시는 시민부담을 줄이기 위한 부산항대교의 재협상에 적극 나서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8-20 7003
444 금융실명제 시행 20년에 대한 경실련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8-12 7001
443 [보도]부산경실련 불법도박근절 캠페인 실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1-06-08 7000
442 해양수산부 부활 공약, 과거 반성부터 이루어져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4-02 6993
열람중 [보도]2년 반 동안 부산지역 기초의원 조례 제․개정 평균 1.1건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3-03-21 6988
440 부산시와 수자원공사는 에코델타시티 행정절차를 중지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5-22 6979
439 롯데그룹은 금산법 등 법위에 군림하겠다는 인터넷전문은행 추진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5-03-20 6957
438 부산시민의 안전을 위한 즉각적이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촉구한다. 댓글+1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10-06 6957
437 유권자 실망시킨 공천, 신랄한 비판 부족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3-29 6944
436 [논평]수습책으로 생색내지 말고 대선 공약 무산 ‘비정상’ 바로잡아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4-02-19 6937
435 [논평]‘제 식구 감싸기’로는 공직부패척결 절대 이룰 수 없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2-03-24 6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