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과다한 홍보예산 편성 여전, 부산시 주도 원도심 통합 홍보는 부적절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보도]과다한 홍보예산 편성 여전, 부산시 주도 원도심 통합 홍보는 부적절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6-26 14:11 조회5,924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2017년 부산시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 분석 의견서]

과다한 홍보예산 편성 여전, 부산시 주도 원도심 통합 홍보는 부적절
본예산에 반영되어야 할 사업 25%가 관행적으로 추경에 편성
정책사업 예산, 내용 등에 비해 과다한 홍보예산 편성도 여전, 집중심의 통해 따져봐야
원도심 통합은 해당지역 주민의 의견수렴이 우선되고, 관보다 시민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각종 홍보예산, 민간투자사업 적격성 조사 등 집중심의 대상 10개 사업 선정

  부산시는 지난 7일, 7,887억 원 규모의 2017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을 편성하여 부산광역시의회에 제출하였다. 이번 추경예산안 편성에 의해 부산시의 올해 예산은 당초 10조911억 원에서 7.8% 증가한 10조8,798억 원이 된다. 부산시의 추경예산안은 16일부터 개최된 부산시의회 제262회 정례회에서 심의하여 6월 30일 본회의에서 의결하게 된다.

  최근 5년간의 부산시의 제1회 추경예산 규모를 살펴보면 올해 7,887억 원의 추경예산안이 편성되면서 규모로는 2번째로 높았으며, 증감률은 7.8%로 3번째로 높은 증가폭을 보였다. 이번 추경예산안도 뒤늦게 결정된 국비의 편성으로 인한 시비 부담분이 일부 반영되었으며, 관행적인 예산편성으로 인해 시급성과 적절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부산시는 이번 추경예산안의 주요 특징으로 ▷일자리 확충 및 취약계층 맞춤형 지원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지원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미래 먹거리 창출을 위한 R&D 생태계 구축 ▷국가경제의 미래인 청년 디딤돌사업 지원 ▷다양한 재난 대비 취약분야 안전망 확충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복지 지속 지원 ▷지역균형발전 선도 및 원도심 통합 지원을 들고 있다.

  지난해 추경예산안과 비교해보면 좋은 일자리 창출 및 신성장 산업 기반 육성 중점 지원, 생활안전도시 조성 및 부산형 시민복지 증진, 도시재생 및 동서 균형발전 인프라 구축 등은 단어의 선택이 바뀌었을 뿐, 매년 비슷한 예산이 관행적으로 편성되고 있다.

  특히 ‘교통공사 운영 지원’과 ‘시내버스 준공영제’ 등은 매년 추경을 통해 관행적으로 편성하고 있으며 올해도 1,437억 원이 편성되었다. 그리고 동·서부산권 연결 도로망 및 순환도로망 건설을 위해 총 352억 원, 대중교통 및 도시철도 중심 교통체계 개선을 위해 197억 원이 증액되었다. 해당 사업에 편성된 추경예산의 합은 1,986억 원으로 전체 추경예산(7,887억 원)의 25.2%에 해당되는 규모이다. 해당 사업들은 매년 지속해 온 사업들로 2017년 본예산에 충분히 고려하고 편성해야 할 것을 추경에 관행적으로 편성하는 부분은 개선되어야 한다.

  또한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지원 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번 추경예산에서 112억 원이 편성되었다. 하지만 대부분이 국비 직접지원에 따른 시비 매칭이었으며, 시비로 새롭게 편성한 사업은 유망업종 및 창업희망 아카데미 지원 등을 위한 6억 원에 불과했다.

  이번 추경예산안도 국비 직접지원, 매칭 등 예산의 규모가 크고 용도가 지정된 경우가 많아 순수한 신규 사업을 편성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고 보인다. 하지만 예산의 시급성을 필요로 하는 사안에 대한 편성을 찾아보기 어렵고, 시정의 방향을 반영한 신규 사업에 대한 편성도 다소 부족해 보였다.

  추경예산안의 분야별 증감률에서 ‘수송 및 교통 분야’의 예산이 크게 증가한 것은 교통공사 지원과 시내버스 준공영제 지원, 각종 도로건설 등에 대한 예산이 본예산이 아닌 추경에 편성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분석된다. 결국 비슷한 사업을 반복적으로 편성하는 관행적인 모습으로 인해 추경예산에 시정의 철학과 비전을 담지 못하고 왜곡된 예산편성이 지속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난해에 이어 ‘사회복지, 보건’분야의 증감률은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낮게 나타났다. 이는 부산시의 저출산, 고령화, 인구유출 등의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된 상황에서 매우 아쉬운 점이다. 특히 출산장려정책으로 ‘저출산 극복 캠페인 영상 제작’을 위한 2천만 원의 예산 편성이 유일했으며, 이마저도 저출산 극복을 위해 어떠한 성과를 있을지 의문이다.

  추경재원은 전년도 결산 결과에 따른 순세계잉여금과 지방세 증가분 및 추가 교부된 정부지원금 등이 반영되어 편성하게 된다. 이번 추경에도 국비 확보에 의한 매칭사업이 많았지만 부산시 보도자료에는 신규 또는 증액되는 사업이 국비가 반영된 것인지, 시비로만 편성되는 것인지 여전히 표시하지 않아 일일이 예산서를 찾아야 알 수 있었다.

  부산경실련은 살펴본 예산서 내용과 그동안 부산경실련이 관심을 가져왔던 예산을 바탕으로 부산광역시 2017년 제1회 추경예산안 중 집중심의 대상 10개 사업을 선정하였다.

2017년 6월 26일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원 허 이만수 한성국 조용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805건 23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53 [논평]시티투어버스 동부산권 노선 분할, 즉각 중단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7-31 5768
452 [논평](주)BNK금융지주 회장 외부인사 내정설을 우려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7-26 5473
451 [논평]부산상의 차기 회장 선거, 지역경제 위기 속에서 화합과 통합의 장이 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7-10 5691
450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이용 비율, 2.26%에 불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6-29 5628
449 정치권은 엘시티 특검 약속을 이행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6-26 6042
열람중 [보도]과다한 홍보예산 편성 여전, 부산시 주도 원도심 통합 홍보는 부적절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6-26 5925
447 부산 시민의 자존심을 돈과 맞바꾼 코레일유통(주) 갑질 횡포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6-08 6210
446 [보도]『문재인정부 출범과 부산의 과제』에 대한 오피니언 리더 설문조사 결과 발표와 집담회 개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5-16 6144
445 기습적 사드 배치 규탄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4-27 5769
444 [보도]기초의회 상임위, 시민의 권리보장을 위해 투명하게 공개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4-17 6072
443 부산지검의 제 식구 감싸기, 또 다시 드러난 엘시티 부실 수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4-14 6289
442 [논평]정경유착으로 얼룩진 전경련 눈치보지 말고 즉각 탈퇴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4-11 5874
441 [보도]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공개질의서 결과 보고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4-11 5783
440 김영수 부산시설공단 이사장은 제보자 색출 중단하고 스스로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4-10 6178
439 [보도]이마트타운에 대한 연제구청의 특혜성 행정처분에 대한 공익감사를 청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9 6096
438 부산시 산하 공사 공단 임원 인사의 개혁을 요구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3-23 6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