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16개 기업에 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보도]16개 기업에 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8-28 10:48 조회5,604회 댓글0건

본문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원사 탈퇴여부를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부산경실련, 16개 기업에 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지난 4, 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결과 4곳만 전경련 탈퇴 및 탈퇴의사 전달

적폐청산에 대한 높은 여론 속에서 전경련 회원 유지는 기업에 부정적 이미지만

부산경실련, 아직 남아있는 회원사 대상 전경련 탈퇴의사 묻는 공개질의

공개질의 결과 발표 후 탈퇴를 요구하는 1인 시위 등 진행

 

부산경실련은 지난 411일 부산지역 20개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 회원사를 대상으로 한 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공개질의서결과를 발표하였다. 당시 6개 기업이 답변을 하였으며, 기술보증기금, 동성코퍼레이션, 부산은행, 한국선급은 이미 탈퇴를 하였거나, 탈퇴하겠다는 뜻을 전경련에 밝혔다고 답하였다. 또한 천일정기화물자동차는 시기를 밝히지 않았지만 탈퇴할 예정이라 답하였다.

 

지난해 LG를 시작으로 삼성, SK, 현대차그룹 등 4대 그룹과 포스코, KT, 대림산업 등 주요 회원사는 이미 전경련에서 탈퇴하였다. 또한 전경련 회원사로 남아있던 19개 공공기관도 전경련에 탈퇴의사를 밝혔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경련의 존재가치는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적폐청산에 대한 국민적 여론이 매우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정경유착의 가능성이 남아있는 전경련의 존속은 기업의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뿐이다.

 

부산경실련은 지난 4월 공개질의에 대한 발표 이후, 아직 탈퇴하지 않은 부산지역 16개 회원사에 전경련에 대한 입장 및 탈퇴 의사 등을 묻는 공개질의서를 28일에 발송하였다. 답변 기한은 98()까지 약 2주간이며, 이후 답변 내용에 대한 발표 및 전경련 탈퇴를 요구하는 1인 시위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2017828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 원 허 이만수 한성국 조용언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02건 21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82 [논평]자질과 준비는 부족한 채, 의욕만 앞선 제8대 부산시의회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7-23 5503
781 [논평]부산상의 회장 선출, 지역 상공계의 갈등과 분열 방지할 규정 마련 시급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1-25 5514
780 [논평]부산상의, 서로를 인정하고 소통,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4-05 5518
779 [논평]지역제한입찰 지키지 않은 사회복지시설, 시민 세금이 대기업의 주머니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1-30 5519
778 생태, 자치, 평화의 가치가 진정으로 실현되는 부산을 우리 함께 만들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1-05 5527
777 [논평]합의되지 않은 돔구장 건설, 부산시의 희망사항일 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3-30 5529
776 [보도] 부산지역 제20대 국회의원 2년차 100점 만점에 51.3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12-03 5542
775 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이용 비율, 2.26%에 불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6-29 5572
774 [논평]운촌항 마리나항만 조성사업 계속된 특혜의혹, 제2의 엘시티 되나?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2-02 5572
773 [논평]삼정더파크 감정평가,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철저히 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7-09 5591
열람중 [보도]16개 기업에 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공개질의서 발송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8-28 5605
771 [보도]전경련 탈퇴의사를 묻는 2차 공개질의서 결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9-12 5611
770 [논평]더베이101의 공유수면 불법영업, 강력히 처벌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11-08 5622
769 [논평]정부는 지역의 요구를 수용하여 기장 의료용 중입자가속기 사업의 완성을 위해 노력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8-10 5628
768 [논평]계속된 버스업체 비리, 부산시가 강력히 제재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5-28 5642
767 [논평]부산상의 차기 회장 선거, 지역경제 위기 속에서 화합과 통합의 장이 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7-07-10 5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