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최고가 빌딩과 단독주택 공시가격, 아파트보다 시세반영률 낮아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부산 최고가 빌딩과 단독주택 공시가격, 아파트보다 시세반영률 낮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6-21 10:00 조회5,78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가진 만큼 공평하게 세금내자부산시 부동산 공시가격 실태 조사

 

부산 최고가 빌딩과 단독주택 공시가격, 아파트보다 시세반영률 낮아

- 고가 상업업무 빌딩 57%, 고가 단독주택 37%, 아파트만 71%

- 부동산부자와 재벌기업들에게 세금 특혜 주는 불공평 과세기준을 바로잡아라!

 

경실련이 부산시 고가 부동산의 공시가격을 시세와 비교한 결과 상업업무빌딩과 단독주택의 시세반영률이 아파트보다 낮아 공평과세에 어긋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2017년까지 거래된 상업업무용 빌딩 중 300억원 이상으로 거래된 빌딩은 5개이며, 이중 최고가는 2015년에 거래된 사상구 롯데마트로 매각액은 981억원이다. 부산시가 고시한 롯데마트의 건물가액(건물시가표준액 3347천만원)을 제외한 토지시세는 평당 1,619만원이다. 하지만 거래 이후 고시된 2016년 공시지가는 평당 592만원으로 시세반영률이 37%에 불과했으며, 2018년 공시지가도 평당 697만원에 그쳤다.

 

같은 방식으로 5개 빌딩의 공시지가와 토지시세를 비교한 결과 시세반영률은 평균 57%에 불과했으며, 2017년에 거래된 부산진구 베스트웨스턴 호텔의 시세반영률은 3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2017년 기준 최고가로 거래된 단독주택은 해운대구 중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래가는 35억원이다. 단독주택으로 분류되어 있지만 현재 주택이 없고 근린생활시설 등 비주거용 부문에 대해서만 과세가 이루어지고 있다. 공시가격은 17579만원으로 시세반영률이 49%밖에 안 된다. 수영구 광안동에서 225천만원에 거래된 단독주택은 주택으로만 활용되고 있으며, 공시가격은 63,100만원에 불과했다.

 

실거래 상위 10위의 단독주택을 조사분석한 결과 공시가격의 시세반영률은 평균 37%에 불과했으며, 해운대구 중동에서 23억원에 거래된 단독주택의 경우 공시가격이 18,616만원으로 시세반영률이 8%로 가장 낮았다. 해당 주택은 상가가 혼재된 단독주택으로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9,770만원, 상가 공시가격은 8,846만원밖에 되지 않았다.

상가 등에 대한 공시가격은 토지와 건물이 각각 고시되고 있으며 토지는 공시지가, 건물은 건물시가표준액임

 

반면 부산내 15개 대규모 아파트의 시세반영률은 평균 71%로 상업업무빌딩과 단독주택보다 높았으며 가격이나 위치에 상관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해운대구에서 가장 비싼 두산위브더제니스의 경우 가장 많이 거래된 전용면적 111.07의 실거래가 평균은 75,500만원이고 공시가격은 5700만원으로 시세반영률이 67%였다. 또한 15개 단지 중 거래가가 가장 낮은 기장군 이지더원(전용면적 59.98)은 실거래가 평균은 2억원, 공시가격은 13,600만원으로 시세반영률이 68%로 두산위브더제니스와 비슷했다.

 

이처럼 보유세 부과기준이 되는 부동산 공시가격 및 공시지가가 시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고, 부동산 유형별로도 서로 달라 공평과세에 어긋나고 있다. 특히 아파트보다 비싼 상업업부 빌딩, 고가 단독주택 등의 시세반영률이 낮아 아파트를 보유한 일반 시민들보다 고가부동산을 보유한 부동산부자와 재벌기업들이 보유세 등을 적게 부담하며 막대한 세금특혜를 누려온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부동산 투기근절과 조세정의 실현을 위해 보유세 강화를 위한 재정개혁특위를 구성했으며, 특위는 6월 말에 보유세 강화를 위한 권고한을 제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언론에 보도된 바로는 불공정한 과세기준을 바로잡는 것보다는 고가 1주택자나 다주택자 등에게 국한되거나 공정시장가액 비율 인상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뿌리깊은 부동산 투기를 근절하지 못할 뿐 아니라 재벌과 부동산부자와 서민차별을 더욱 심화시킬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보유세 강화는 불공정한 과세기준을 바로잡고 부동사부자와 재벌들에 대한 막대한 세금특혜를 청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상업업무빌딩과 단독주택 등 고가부동산의 시세반영률을 아파트 수준인 80%로 동일하게 적용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로드맵을 제시해야 한다. 개별주택 및 개별공시지가의 왜곡은 기준이 되는 표준지 및 표준주택 가격을 국토부가 엉터리고 고시한 것에 원인이 있는 만큼 부산시 등 광역단체장들은 표준지 및 표준주택 가격의 적정성을 검증하고 가격결정권의 지자체 이양을 위해 적극 나서길 바란다.

별첨. 부산시내 고가 부동산 공시가격 실태분석 자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805건 20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1 [논평]자질과 준비는 부족한 채, 의욕만 앞선 제8대 부산시의회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7-23 5563
500 사회적경제과는 사회적경제 전담조직으로 만들어져야 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7-23 5287
499 [논평]삼정더파크 감정평가,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철저히 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7-09 5632
498 [보도]부산지역 공공기관의 사회적기업 이용 비율, 2.59%에 불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28 5343
497 [논평]새로운 부산시정. 시민과의 소통, 협치가 우선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25 5378
열람중 부산 최고가 빌딩과 단독주택 공시가격, 아파트보다 시세반영률 낮아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21 5789
495 [논평] 지방권력 교체 의미, 시민에게 정책으로 보여줘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15 5170
494 시민들의 시정참여를 통해 진정한 ‘시민행복시대’를 열어가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15 5400
493 [보도]부산의 청년을 위한 공약은 어디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7 5334
492 [논평]영도구청, 주거단지 된 동삼하리지구 사업실패 책임져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6-01 6233
491 [논평]계속된 버스업체 비리, 부산시가 강력히 제재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5-28 5701
490 [논평]유력 회사 봐주기는 경제정의가 아니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5-16 5430
489 [논평]선분양 아파트의 폐해, 내 집 마련의 꿈 짓밟는 꼴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5-11 5889
488 [논평]부산은 2018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반도 평화통일 시대를 준비해야 한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4-28 5292
487 [논평]부산시, 노브랜드 같은 변종마트의 무분별한 지역상권 진출 제지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4-18 5445
486 허용도 회장, 독선적 자세 버리고 모두를 품을 수 있는 대인배가 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8-04-09 5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