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령산 유원지 난개발 백지화 촉구 기자회견 > 성명.보도자료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성명.보도자료

황령산 유원지 난개발 백지화 촉구 기자회견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5-02-04 17:48 조회14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 일시 : 2025년 02월 04일(화) 오후 2시 
| 장소 : 부산광역시청 앞 광장
| 주최 :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부산의 도시숲, 황령산이 난개발의 위험에 처해있습니다. 케이블카를 비롯해 아파트 25층 높이의 봉수전망탑, 그리고 대규모 숙박시설이 그것입니다. 부산시는 관광효과를 이야기하지만 시민들이 함께 누리던 공공재를 개발업자의 사적이익을 위해 내어주는 행태입니다. 케이블카 건설 하나만으로도 전국 각지의 지역사회가 반대하고 나설 일인데 부산의 황령산은 무려 3개의 대규모 개발을 하나의 업자에게 몰아주었습니다. 

이제 부산시는 진구청과 협의만 끝내면 사업 승인을 내어주겠다지만 아직 늦지 않았습니다. 부산시는 황령산의 우수한 조망을 사유화 시켜서는 안됩니다. 게다가 개발자가 2조원대 사업비를 조달하지 못한다면 황령산만 개발에 무너지고 사업은 중단되는 사태가 오지 말란 법이 없습니다. 

기후위기 시대에 진정 시민들을 위한 것이 무엇인지 부산시는 다시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2_4454.jpg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2_9284.jpg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3_2495.jpg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3_5988.jpg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3_8617.jpg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4_2762.jpg

fcfd7fd23638eea5f7c5710c7e99b0b5_1738658864_6136.jpg

 

<진행 순서>
■ 사    회 : 
 - 도한영 공동집행위원장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부산경실련 사무처장)
■ 인 사 말 : 
 - 정산스님 상임대표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부산그린트러스트 이사장)
 - 오문범 상임대표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상임대표)
 ■ 발   언 : 
 - 이상범 집행위원장 (신불산케이블카반대 범시민대책위원회)
 - 이성근 공동집행위원장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부산그린트러스트 상임이사)
■ 기자회견문 낭독 :
 - 박정희 운영위원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부산민언련 사무국장)
 - 김민재 감사 (부산환경회의, 환경보호실천본부 이사장)
■ 질의응답


[기자회견문]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부산시와 대원플러스는 사업계획을 백지화하라!
 
기후 위기 극복 생물다양성 강화의 시대, 시민이 지켜왔고 가꾸어 왔던 황령산에 개발업자가 삽질을 앞두고 있다. 삽질의 결과는 산정에 거대한 인공구조물을 앉히는 것이다. 산을 잡아먹는 그 괴물의 아가리로 관광객을 불러들여 돈을 벌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500m 남짓, 엎어지면 코 닿는 거리를 오가는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한편 대규모 숙박시설을 만들어 잠자리며 오락거리를 제공한다고 한다. 전체 사업 규모 2조 2천억 원으로 전액 민자사업이다. 

여기에 부산시는 앞장서 길을 터주는 역할을 마다하지 않았다. 4년전 시와 개발업자 간 이루어진 업무협약에 항의하여 이루어진 간담회에서 시장을 대신하여 부시장은 투명성을 강조하며 시민단체와 지속적 소통하겠다 하였으나 함흥차사가 되었다. 이후 부산시는 시민사회의 문제 제기에 귀를 닫고 일방적으로 관련 절차를 밟았다. 

그러나 그 절차라는 것이 알려져 있다시피 납득할 수 없는 조건부로 승인되는 과정이었다. 다시 말해 심의해야 할 본질을 외면한 채 개발을 기정사실화하고 개발을 합리화하는 방안이었다. “환경훼손을 최소화하고 케이블카 진입도로 경사도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라는 것이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결과였다. 이런 결정을 시민들이 받아들일 리 만무했다. 이제 남아 있는 절차는 부산진구청과 협의뿐이다. 

부산시는 기초지자체 진구청과의 협의만 끝내면 사업 승인을 내어 주겠다지만 정작 중요한 것은 개발을 반대하는 시민협의는 전무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 이는 절차와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의사 집단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무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시민의 개발 반대 사유가 명확함에도 소수 전문가와 형식적 여론 수렴으로 절차적 정당성을 획득했다는 것은 시민기만이다.

지난 한 해 부산 곳곳에서 박형준 시장의 개발사업이 무너져 내렸다. 구덕운동장 재개발에서 시가 보인 행보는 처참하게 박살 났다. 이기대 아파트 건립 또한 무책임한 책임 전가로 끝났다. 이 모든 것이 의사결정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는 시민동의 없이 이루어진 결과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혹자는 이를 일러 시정 운영의 리더십 붕괴이자 좌표 상실이라 명했다. 실제 박형준 시장체제는 엑스포 말고는 없었다. 모든 것을 엑스포와 연계지어 시정을 농락했다. 황령산은 박형준 시장이 연임에 성공하며 내건 대표적 난개발 사업으로 시민의 반대와 저항을 외면하며 무리하게 끌고 왔던 사업이다. 

황령산에 들어서는 인공구조물은 케이블카를 비롯하여 아파트 25층 높이의 봉수 전망 탑, 그리고 부산시 스스로가 개발을 승인한 후 사업성이 없어 폐업한 뒤 방치된 스키돔의 대규모 숙박시설 등 3가지 사업이다. 케이블카 건설 하나만으로도 한 지역사회가 극렬히 반발하는 전국 각지의 현장에 비하면 황령산은 무려 3개의 대규모 개발을 하나의 업자에게 몰아서 종합선물 세트처럼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어떻게 이런 일이 천연스레 벌어질 수 있단 말인가.

개발업자는 이런 개발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하고 관광의 메카로 만들겠다고 한다. 언어도단도 유분수라 아니할 수 없다. 사적 이익을 위해 공공재를 유린하면서 지역을 위한다는 논리는 더 이상 통용되지 않을뿐더러, 대원플러스가 그간 걸어왔던 이윤추구의 행보는 익히 알려진바, 이익의 3% 지역 기여는 시민 우롱과 다름없다.

오늘 우리가 기자회견을 열어 개발의 부당성을 주장함에 있어 지적할 것은 기울어진 운동장에서처럼 신뢰할 수 없는 절차와 과정으로 난개발에 대한 적법성을 획득했다 하더라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생태 경관의 문제는 또 다른 문제라는 것을 제기함이다. 

일테면 정상부 능선에 난립하게 되는 거대 구조물에 대한 경관 영향평가 결과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결론짓고 있다. 과연 그런가. 시민운동본부는 황령산 정상부를 조망하는 27곳의 지점에서 봉수 전망 탑의 입지 여부를 비교했을 때 돌출되어 솟아오른 구조물로 인해 황령산 고유 경관에 교란과 뒤틀림이 발생할 것으로 확인했다. 또한 봉수 전망 탑이 랜드마크로 기능하기 위해 과도한 조명이 발광될 때 주변 동식물에 지속적 스트레스를 줄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야행성 맹금류를 비롯하여 텃새화되어 있는 새매, 황조롱이 같은 맹금류와 명금류들은 서식 환경의 악화로 새들을 쫓아내는 원인이 될 것이다.

한편 봉수 타워가 들어설 곳은 방문자들의 주요 이동선 상에 있어 이동 장애가 발생하여 불편을 강제하게 된다. 실제 그런 사실을 알게 된 대다수의 방문자들은 분통을 터뜨리며 분노했다. 또 주변 곰솔 수백 그루가 제거될 수밖에 없다. 환경영향평가는 이런 문제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이식이라는 보완을 주문하고 있다. 추가하여 황령산 정상부 부산진구, 남구, 연제구 통틀어 능선 300여 미터의 이용 면적은 3,900㎡에 불과하다. 다시 말해 산정을 꽉 채운다고 하더라도 천 명 이상이 들어서게 되면 과밀상태가 되어 답압과 생태교란종의 유입 등이 확대된다. 이미 정상부에는 양미역취, 돼지풀 등 6종의 생태교란 외래식물이 장악한 지 오래다. 

황령산이 건강한 산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이용 인구의 적정선 설정이 규명되어야 함에도 개발은 더 많은 이용자를 불러들이기에 급급하다. 이 모든 것이 황령산을 황폐화 시키는 근본 원인으로 고착화 될 뿐이다. 나아가 공공재로서의 산지 이용의 차별화에 더하여 치유할 수 없는 이질적 경관과 생태적 지위의 하락을 강요하여 지역민 눈에 못질하는 행위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밤하늘의 별은 더 이상 만날 수가 없게 된다. 우리는 이런 미래를 단호히 거부한다. 

황령산은 시민의 산이다. 우수한 조망은 개발업자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황령산은 4개 지자체 100만 명의 지역민이 기대어 살며 휴식을 취하는 무상자연 재다. 이 보물을 누가 탈취하여 독점하려는가. 또 누가 거드는가? 

아직도 늦지 않았다. 부산시는 개발이 야기할 결과를 놓고 예측해야 한다. 케이블카와 봉수 전망 탑이 호시절을 만나 황금알을 낳는 거위도 아닌 바에야 섣불리 삽질이 시작되어 사업중단의 사태가 오지 말란 법이 없다. 건설경기가 바닥부터 휘청이며 대기업 건설사의 부도가 이어지고 있다. 이 어려운 시절에 대원플러스가 2조 원대의 사업비를 조달하지 못한다면 이도 저도 아닌 꼴로서 황령산만 무너지는 것이다. 그때 그 책임을 박형준 부산시장은 질 것인가. 엑스포처럼 무책임하게 구렁이 담 넘듯 얼버무릴 것인가? 

그간의 과정이 순탄치 못했으며 시민의 반대가 완강한 개발 대신 휴식년제를 도입한 산림처럼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때이다. 그리하여 부산시는 개발업자가 매입한 땅을 사들이는 한편 황령산 유원지를 보전 녹지로 도시계획시설 변경을 도모해야 한다. 무엇보다 개발유보를 천명해야 한다. 그것이 시작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개발 행정에 저항하고 자연에 순응하는 자세로 황령산과 동행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우리의 주장]
1. 부산시는 개발업자의 이익에 앞서 시민의 녹색 복지와 기후 위기에 반하는 개발계획을 취소하라
2. 부산시는 개발유보를 통해 현명한 보전과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라
3.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대원플러스는 사업계획을 백지화하고 철수하라 


2025년 2월 4일 
황령산지키기범시민운동본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성명.보도자료

Total 1,141건 1 페이지
성명.보도자료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황령산 유원지 난개발 백지화 촉구 기자회견 새글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5-02-04 15
1140 대통령의 체포 및 대국민 담화에 대한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5-01-15 93
1139 2024년 부산지방의회 의원 겸직현황 분석 결과발표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5-01-06 153
1138 국제신문 기업회생 신청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24 189
1137 가덕도신공항건설공단 지역상생 협력 촉구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17 216
1136 윤석열 대통령 탄핵 가결관련 입장문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16 205
1135 부산 국민의힘 국회의원 시민 명령 수용 촉구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13 214
1134 박형준 부산시장 시민 요구 수용 촉구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10 207
1133 KBS 박장범 사장 취임에 대한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성명 발표의 건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09 206
1132 한동훈 대표 담화 발표에 대한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성명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08 190
1131 윤석열 대통령 대국민 담화에 대한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07 199
1130 위헌·위법적 비상계엄 윤석열 대통령은 퇴진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05 223
1129 박종철 부산시의원 발언에 대한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입장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04 226
1128 부산경실련 국제신문 경영 정상화 촉구 기자회견 개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2-03 227
1127 INC-5 대응, 플라스틱 생산감축 촉구 “STOP PLASTIC!” 기자회견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1-25 238
1126 플라스틱부산행동 입장발표 기자회견 : 정부와 부산시는 플라스틱 문제해결을 위한 강력한 정책을 실시하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11-21 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