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개혁]6.10 민주항쟁 16주년기념토론회 > 이슈&초점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이슈&초점

[정치개혁]6.10 민주항쟁 16주년기념토론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70-01-01 09:00 조회7,350회 댓글0건

본문

-- 1987년 6월 박종철군 고문치사사건과 전두환 대통령의 호헌발표로 촉발된 민주화의 열기가 이
한열군이 시위중 최류탄에 맞아 숨지는 사고로 이어지며 부산도 시가지 전체가 직선제 개헌을 요
구하는 인파로 가득했었다. --
 
  16년전 민주화의 열기를 승화시키기 위한 토론회가 6월10일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부산경실련
등 10개단체)'주관으로 '부산민주공원 작은방'에서 열렸다.
"정치개혁과 시민단체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토론회에서는 민주사회정책연구원 김정훈
연구교수의 발제로 시민단체의 정치개혁에 대한 방향과 현 시점에서의 역할에 관한 토론이 이어졌
다.

  김정훈 연구교수는 발제에서 우리역사는 열광과 좌절의 악순환 과정이었으며, 이 고리를 끊기위
해 대중의 요구를 제도화하는 사회개혁에 시민운동이 앞장서야 한다며, 2002년 대선에서의 정치개
혁의 열망을 담아내는 정치세력화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시민운동의 합리화와 정치적 중립은 시민운동의 존재근거의 하나이기도 했지만, 이제는 '영향의
정치'시대를 벗어나 정치개혁을 위한 '진입의 정치'를 숙고할 때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시민운동
의 정치세력화는 시민운동을 약화시티는 것이 아니라 시민운동을 강화시킬 수 있으며, '비판과 감
시'의 시민운동의 기능은 여전히 필요하므로 정치세력화를 위한 별개의 조직 건설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김정훈 교수는 기득권집단의 정치독점을 해체하기 위한 노력을 강조했
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정순형 부산일보 논설위원, 박재율 참여자치연대 사무처장, 김형곤 미래포럼
상임위원, 김기식 희망연대 사무국장, 안철현 경성대 교수가 차례로 나서, 정치개혁을 위한 시민운
동의 역할에 있어 '인적 개혁'과 '제도적 개혁'의 우선 순위와 개혁의 주체에 관한 문제, 시민단체
의 정치적 중립에 대한 역할의 한계와 영향의 정치를 축소하는 문제, 그리고 낙천·낙선운동의 앞으
로의 한계와 유권자의 정치개혁에 대한 시각, 정당과 선거제도의 개혁문제 등에 대한 문제제기가
이루어졌다.
 
  2004년 총선을 앞두고 현 노무현 정부의 정책 및 개혁에 대한 비판과 지지에 관한 방청객의 문제
제기도 이루어졌으며, 정치개혁을 위한 시민운동단체의 역할에 있어, 소극적인 대응에 대한 자성
의 목소리도 있었다. 또한 인적개혁의 역할을 하지 못하는 정당을 대신할 개혁의 주체에 대한 질
의 등이 이어졌다.
 선거시기에 개별적으로 정치적 출마를 위한 정당과의 연대나, 개별적지지 및 당선운동이 이루어
지는 경우는 있었으나, 정치세력화를 위한 조직건설이나 정당으로의 조직화는 많은 한계와 비판
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향후 적극적인 정치개혁을 위한 시민운동의 역할을 깊이 고민해 볼 필요
가 있을 것이다. 이번 토론회는 이러한 고민을 새롭게 시작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본 내용에 게재된 사진은 부산참여자치연대에서 제공해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슈&초점

Total 158건 6 페이지
이슈&초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8 경제정책 전반에 '지역고용영향평가제' 도입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10-01-25 8796
77 북항재개발, 주거와 매립면적 확대 필요한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11-30 10467
76 신공항 건설, 가덕도vs밀양 勢싸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11-06 9459
75 산업단지 기능상실, 센텀시티의 특혜와 난개발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9-10 13555
74 행정개편, 지방 경쟁력 아닌 정치적 이해만 대변...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9-01 8217
73 은행별 은행수수료 차이 커, 잘 알고 이용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7-27 9105
72 공약이행 선거-임기 내, 상시적이고 체계적으로 관리되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7-05 8181
71 대형마트, 규제로는 한계. 소비자운동으로 돌파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6-12 10040
70 동부산관광단지 테마, 부산만의 '콘텐츠'로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5-09 9521
69 지역간 재정불균형 문제는 별도의 대책으로 접근해야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4-28 9301
68 대형 유통업체의 지역사회 공헌이 절실하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09-03-03 11515
67 [자치경제] 지방분권과 지방세입의 개혁방향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8487
66 [예산감시]하루 이자만 6,500만원인 센텀시티 어디로 가나?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7998
65 [예산감시]아시아드CC 특혜 매각 의혹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10714
열람중 [정치개혁]6.10 민주항쟁 16주년기념토론회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7351
63 [자치경제]안상영시장의 정책 이행여부에 대한 질의서 전달 no_profile 부산경실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70-01-01 7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