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현지법인화는 왜 필요한가? > 이슈&초점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이슈&초점

백화점 현지법인화는 왜 필요한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3-09-11 15:02 조회10,490회 댓글0건

본문

 

부산에는 롯데백화점 4곳(부산본점, 광복점, 동래점, 센텀시티점)과 동양 최대라고 자랑하는 신세계 센텀시티점 그리고 현대백화점이 성황리에 영업 중이다. 최근에는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이 부산 기장군에 개장했다. 인근 김해에도 롯데 프리미엄 아울렛이 영업 중이며, 동부산관광단지 지역에도 프리미엄 아울렛이 추진 중이다. 부산에는 모두 7개의 대형백화점이 영업 중이며, 롯데 마트 7개를 포함하여 8개의 대기업이 운영하는 109개의 대형마트가 개점 상태이다.

이들 대형유통점 중에서 부산에 법인을 두고 있는 백화점은 한 곳도 없다. 대형마트 중 부산에 법인을 두고 있는 곳은 향토기업인 서원유통의 탑마트와 메가마트 정도다.

 

** 지역업체 납품비율 :

부산 법인 마트는 40%대, 이마트와 롯데마트는 10%대

 

 우선 대형마트 중 부산에 법인을 두고 있는 탑마트와 메가마트의 경우 부산에 사업자등록이 되어 있는 업체로부터 납품을 받는 비율이 업체 기준 40.8%와 42.3%이며, 납품액 기준으론 43.5%와 45.6%에 달한다. 이에 비해 이마트는 업체수에서 14.2%이며 납품액 기준으론 12.2%에 불과하다. 롯데마트는 자료제출을 거부했지만, 이마트보다 오히려 더 낮은 수준이다. 대형백화점의 경우 지역업체의 입점 비율은 총매출액 대비 평균 2.9%에 불과하다. 현대백화점이 5.4%, 신세계가 3.7%이며, 롯데백화점은 2.1% 수준이다.

 이렇게 낮은 지역업체의 납품과 입점 비율에서 보듯 대형유통업체의 부산진출의 확대는 부산시민들에게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한다. 대형백화점이 부산시민들의 주머니에서 올리는 매출은 한해 3조원을 넘는 규모이다. 이들 백화점의 주거래은행은 신한은행과 시티은행 등이다. 3조원의 매출 중에서 부산지역 은행에 예치되는 돈은 1천억 원에도 못 미친다. 97% 이상의 매출액은 바로 서울로 향하게 된다는 말이다.

대형마트의 매출도 2조2천억 원대를 넘어서고 있다. 이들 매출도 우리은행과 하나은행 등을 통해 유출되고 있다.

 

** 지역에서 발생하는 매출의 97%는 바로 서울로

 

 지역에서 발생하는 매출의 대부분은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한 타지역 업체들이 생산한 제품이다. 이들 대형유통점에서 올린 매출 또한 지역의 기업과 주민들의 주머니를 거치지 않고 모두 서울로 빨려 올라가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거래를 통해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만 지역 경제가 선순환을 이룰 수 있다. 하지만 대형백화점과 대형마트의 매출은 지역주민들의 소득증대와 지역경제의 선순환과는 아무런 연계가 이루어지지 못한다.  

대형 백화점과 마트가 늘어나면서, 이들 유통업체에 납품되는 제품들은 대부분 수도권의 물류창고를 통해 구매되게 된다. 당초 재래시장이나 기존 상권에서 판매되던 부산지역 업체가 생산한 제품들은 대형유통점이 잠식한 상권의 영향으로 물량이 점차 줄어들게 되고 결국은 납품할 곳을 찾지 못해 폐업으로 내몰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또한, 대형마트의 도매분야의 잠식은 또 다른 영세 도매상의 몰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상품 생산의 다양성이 줄어들게 되면서 지역 물가 인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대형유통점들은 자체 브랜드 상품인 PB 또는 PL상품의 비중을 늘려 가격 경쟁을 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어 향후 지역업체에 대한 납품 비중을 늘린다 하더라도 경쟁력있는 지역 기업이 이미 고사했을 가능성이 크다. 대형유통점의 매출 중 입점과 납품 그리고 고용 등을 통해 남는 비중은 10% 안팎이다. 간접 비용 등을 포함하더라도 20% 미만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역 상권 모두의 몰락이 우려되고 있다.

 

** 대형마트 등의 고용창출은 1.8배의 중소상인 실업을 기반으로 한 결과.

 

 대형백화점이 들어설 때 마다, 수천 명의 직원채용을 통해 고용이 증대된다고 홍보해 왔다. 최근에 개장한 부산 기장군의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러한 대형 유통점이 들어서게 되면, 그 주변의 자영업자와 종업원 수천 명이 실직하게 된다. 대형마트의 개점으로 늘어나는 고용창출의 이면에는 고용의 1.8배에 해당하는 중소상공인의 실업을 기반으로 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대형 유통업체에 취업하는 비정규직 일자리가 1천개 늘어나면, 그 주변 골목상권의 1천8백명의 실업자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 부산지역의 대형백화점 7곳과 대형마트 34곳 그리고 기업형 수퍼마켓(SSM) 94곳에 고용된 인원은 모두 2만7천220명이다. 이중 93.4%인 2만5천420명이 부산연고의 직원들이다. 하지만 이들은 비정규직이며, 이들이 고용의 기쁨을 채 누리기도 전에 더 많은 사람들이 또 다른 비정규직을 찾아 헤매고 있을 지도 모른다.

  

** 1995년 광주신세계, 2015년 개장 예정인 동대구복합환승센터 현지법인 등록

 

 1995년 신세계백화점은 광주에 진출하면서 현지법인화를 했다. 2002년 상장된 광주신세계는 광주연고의 프로농구단의 운영과 신세계 미술전 개최, 장학사업과 문화예술지원 등 지역밀착형 경영으로 광주지역으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최근 대구의 동대구역복합환승센터 쇼핑몰 건립사업에 참여한 신세계도 2012년5월 현지법인으로 등기를 완료했다. 대전에서도 현지법인화를 전제로 사업이 추진 중이다.  

 부산의 신세계 센텀시티점은 동양최대를 자랑한다고 하면서도 현지법인화를 거부했다. 센텀시티 내 엔터테인먼트 지구 내 3필지의 부지를 분양받으면서 위락시설을 포함한 대형 관광자원화를 약속했지만, 사용되지도 않는 주차장 용도로 놀리고 있을 뿐 사업추진 약속을 어기고 있다. 땅 값만 오르기를 기다리며 땅투기에 나선 셈이다.  

 최근 개장한 기장군의 신세계 프리미엄 아울렛은 2010년 사업추진 단계부터 부산시와 현지법인화를 전제로 각종 인.허가의 편의를 제공받고도 정작 완공단계에서는 서울법인에 통합하는 꼼수를 부렸다. 부실한 교통영향평가와 교통대책 부재로 주말마다 인근 도로가 마비되는 현상까지 발생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부각되는 시대적 흐름를 무시하듯 지역사회에 해를 끼치고 부담만 안겨주는 대형유통점의 도덕 불감증이 유독 부산에서만 반복되고 있다.

 

**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시대, 지역과 함께하는 기업만이 살아남아야...

 

 대구시는 최근 대형 유통점이 입점할 경우, 조례를 통해 지역금융 이용과 직원급여 이체 90%이상, 지역업체 제품 매입 20% 이상, 용역발주 90%이상, 지역민 고용 95%이상, 영업이익 5%이상 지역 환원 등을 요구할 계획이라고 한다.

그 지역에 들어서는 업체는 당연히 그 지역에 법인을 두어야 한다. 우리나라 기업이 외국에 진출하거나 외국기업이 우리나라에 들어올 때도 ‘현지 법인화’ 전략을 추진하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추세다. 외국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모두 자국으로 빼 가 버린다면 우리 국민들은 그 기업제품을 구매하려고 하지 않을 것이다.  

 서울에 법인을 둔 기업들이 부산시민들의 주머니를 틀어 서울로 가져가 버리는데도 가만히 있어야 하겠는가? ‘주주 자본주의’ 수준이 아닌 ‘이해관계자 자본주의’가 자리 잡기 위해서는 현지법인을 통한 지역사회 공헌과 지역경제의 선순환에도 도움이 되는 기업만이 그 지역에서 이익을 창출해낼 자격을 가져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이슈&초점

Total 145건 1 페이지
이슈&초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45 [서울경제] 의사 수입 많은 건 사실…의대 증원도 찬성” 의협 회장후보의 소신 발언 (2024.03.04.)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3-04 125
144 [김대래의 메타경제] 화합과 변화의 상공회의소를 기대한다 (2024.02.13.)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2-15 149
143 [부산일보] 유권자의 현명한 선택에 부산 미래 달렸다 (2024.02.07.) - 도한영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02-15 151
142 [김대래의 메타경제] 아시아적 가치의 성찰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11-22 312
141 [오마이 뉴스] 서울 팽창주의 고집하는 여당, 뉴욕·파리·도쿄를 보라(23.11.09.) - 초의수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11-10 410
140 [김대래의 메타경제] 지역경제론의 배신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7-19 355
139 [김대래의 메타경제] 더 담대해져야 할 부산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6-12 414
138 [김대래의 메타경제] 미안합니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3-15 448
137 [김대래의 메타경제] 낙동강을 건너는 법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3-02-01 507
136 [김대래의 메타경제] 잘못된 정책의 나비효과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11-10 580
135 [김대래의 메타경제] 공유지의 비극과 공공성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8-17 752
134 [기고] 시민 행복을 위한 35개의 제안 (김대래)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5-17 810
133 [김대래의 메타경제] 좋은 정책은 포장이 필요하지 않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4-13 814
132 [김대래의 메타경제] 공약은 지역에서 더 중요하다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2-03-02 968
131 ‘부산 밸리’ 큰 그림 그려야 <김대래 신라대 글로벌경제학과 명예교수, 부산경실련 공동대표>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26 1121
130 “부산 발전하려면 태평양 지향성 복원과 첨단산업 활성화 절실해”김대래 신라대 명예교수 no_profile 부산경실련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1-08-23 12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