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롯데는 ‘부산 먹튀기업’?…세계 최고 마천루 20년 넘도록 헛말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처음으로   회원가입   로그인 부산경실련 FaceBook 바로가기 부산경실련 밴드 바로가기 인스타그램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언론보도

[한겨레] 롯데는 ‘부산 먹튀기업’?…세계 최고 마천루 20년 넘도록 헛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부산경실련 작성일22-06-21 09:51 조회894회 댓글0건

본문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595309?lfrom=kakao 



2000년 부산에 ‘제2 롯데월드’ 약속했지만

4개 건축물 중 판매시설만 완공해 먹튀 논란 자초

부산롯데타워 2025년까지 짓겠다고 세번째 약속

연면적은 5분의1로 축소·높이는 320m로 낮아져

세계 최고 마천루 무산에 ‘애물단지 전락’ 우려도


부산은 대기업 롯데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다. 고향이 울산인 롯데 창업주 신격호(2020년 작고)는 회고록에서 “부산은 스무 살 나이에 청운의 꿈을 안고 집을 나와 부관연락선을 탔던 곳”이라고 했다. 그가 “내 꿈의 출발지인 부산에서 뭔가 뜻깊은 일을 벌이고 싶었다”며 시작한 게 호텔사업이다. 1984년 5월 옛 부산상고 부지인 서면에 주식회사인 부산호텔롯데를 설립했고, 그 꿈은 2000년 12월 첫 삽을 뜬 ‘제2 롯데월드’로 구체화한다.


기공식 당시 롯데는 “1조2천억원을 들여 현존하는 건축물 가운데 가장 높은 건축물을 5년 내 짓겠다”고 했다. 부산시민들은 세계 최고층 건물이 계획대로 2005년에 들어서면 국내외 관광객들이 몰려들어 1만8천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되고 연간 150억원의 지방세 수입이 생긴다는 부산시 발표에 환호했다. 안상영 당시 부산시장은 기공식 직후 “제2 롯데월드 건립(계획)에 감사하다”며 롯데 창업주인 신격호 회장에게 명예시민증을 전달했다.


하지만 시민들의 기대는 5년은커녕 20년 남짓 흐른 현재 여전히 이뤄지지 않았다. 공사는 진척이 더뎠고, 시설 규모는 시간이 갈수록 축소됐다. 시민들이 반발하고 부산시가 행정 제재에 나설 움직임을 보이자 롯데는 지난 2일 부산시와 “2025년까지 67층 320m 높이의 부산롯데타워 완공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는 내용의 업무협약서를 체결했다.


■ 반복되는 약속 파기


애초 롯데가 2000년 11월 부산시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을 때 제출한 계획은 옛 부산시청 터(2만9604㎡)와 해상(1만450㎡) 등 모두 4만54㎡ 면적에 최고 107층, 428m 높이의 숙박시설(호텔·콘도·오피스텔)과 백화점·대형마트·아쿠아 등 판매시설 3개를 짓는 것이었다. 하지만 롯데는 정작 건축허가가 떨어진 이후에는 사업에 속도를 내지 않았다. 계획의 핵심인 숙박시설이 투자비가 많이 들어가 수익성이 예상을 밑돌 것이란 내부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이에 롯데는 공유수면 1만450㎡의 매립이 끝난 2009년 6월 부산지방해양수산청에 “매립지에 아파트를 지을 수 있게 해달라”고 신청했다. 숙박시설보다 고가 분양으로 현금을 바로 확보할 수 있는 아파트가 더 남는 장사라고 롯데가 판단했다는 뜻이다. 시민단체들은 ‘관광·유통시설’로 허가를 받아놓은 뒤 용도 변경 신청을 하는 건 특혜이며 “공유재인 바다를 사유화하는 것”이란 논리로 롯데를 비판했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도 시민사회의 지적을 받아들여 그해 7월 아파트 건립 불허 결정을 내렸다.


이에 롯데는 2013년 11월 지하층 공사만 마친 상태에서 숙박시설 공사를 중단했다. 대신 백화점과 마트, 아쿠아리움 등 수익성이 높은 판매시설 3개를 2009~2014년 순차적으로 완공하고 영업을 시작했다. 이렇게 들어선 롯데백화점 광복점은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12년 동안 4조~5조원대의 누적 매출(아쿠아리움 매출 포함)을 올렸다. 부산시민단체들이 “3개 판매시설 폐쇄 등 강력한 행정조처를 하라”고 촉구했지만 부산시는 1~2년 간격으로 판매시설 3개의 임시사용(영업)을 계속 허가했다. 영업을 정지시키면 3천여명의 종업원이 실직하고 하청업체들의 경영 악화가 우려된다는 이유를 들었다. 2015년 부산참여연대 등이 ‘나쁜 롯데 개혁 시민운동본부’를 만들어 롯데제품 불매운동에 나서고 2019년 1월엔 롯데백화점 광복점 앞에서 ‘롯데 퇴출 원도심 주민 결의대회’를 여는 등 시민단체의 반발이 이어진 까닭이다.


여론이 심상치 않자 부산시와 롯데는 물밑 협상에 들어갔다. 이에 롯데는 2019년 1월 말 부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숙박시설과 아파트는 짓지 않고 공중 수목원과 전망대 등을 갖춘 56층 300m 높이의 부산롯데타워를 2022년까지 완공하겠다”고 밝혔다. 애초 계획에 담긴 대형 숙박시설 건립은 백지화하지만 물밑 추진했던 아파트 건축도 포기한다는 절충안적 성격이 있는 ‘수정 계획’인 셈이다.


롯데의 두번째 약속도 이행되지 않았다. 올해 1월 부산시가 강경 조처를 내놓은 배경이다. 당시 부산시는 올해 5월31일에 끝나는 3개 판매시설의 영업허가를 연장하지 않는다는 방침을 밝혔다. 매년 5천억원 안팎의 현금을 안겨주던 매장 폐쇄 가능성에 깜짝 놀란 롯데는 지난 3월 부랴부랴 공사를 재개했다. 공사 중단 8년5개월 만이었다. 그럼에도 부산시는 롯데 수뇌부의 공사 재개 의지가 작다고 보고 3개 판매시설 영업 허가를 연장하지 않았다.


결국 롯데는 6월1일 판매시설 3곳 영업을 중단해야 했고 하루 뒤인 지난 2일 부산시와 업무협약을 맺어 “2025년까지 67층 320m 높이의 부산롯데타워 완공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제야 부산시도 이날 3개 건축물의 임시사용 기한을 4개월 연장해줬다.


■ 사업규모 축소의 명과 암


롯데의 세번째 약속은 여러 면에서 후퇴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우선 부산롯데타워가 들어서는 건축물(타워동)의 연면적이 22년 전 건축허가를 받을 당시의 22만8131㎡(6만9130평)에서 5만8613㎡(1만7761평)로 줄었다. 타워동 높이도 428m(107층)에서 320m(67층)로 낮췄다.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앞 ‘엘시티’ 전망대(411.6m)보다도 낮다. 도한영 부산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사무처장은 “제2 롯데월드의 취지는 세계 최고 마천루를 만들어 국내외 관광객들을 유인하겠다는 것이었는데 이웃한 부산 북항 재개발 1단계 구역 내 상업시설(최고 280m)과 비슷한 높이로 쪼그라들었다. 지역 랜드마크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사업규모가 축소되는 만큼 롯데는 그만큼 투자비는 줄일 수 있게 된다. 롯데 관계자는 “추가 설계변경의 여지도 있고 4개 건축물이 연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현재 타워동의 투자비만 따로 계산하기 힘들다”고 했다. 하지만 부산시 안팎에선 롯데가 부담할 투자비를 4천억~5천억원대로 추산하고 있다.


■ 3차 약속은 지킬까?


부산시는 3개 판매시설의 임시사용 연장을 불허해 롯데의 2025년 완공 약속을 끌어냈다고 자평한다. 박형준 부산시장도 2일 업무협약서 체결 뒤 “부산롯데타워 건립이 20여년 동안 추진되지 않아 시민이 안타까워했는데, 롯데가 부산롯데타워 건립 의지를 분명히 해줘 감사하다”고 했다.


하지만 부산시 안팎에선 여전히 의심의 시선을 거두지 않는다. 협약서 자체가 법적 강제력이 없고 약속을 어겨도 이행강제금 부과 등 행정처분은 내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부산시 스스로도 3개 판매시설의 영업허가를 4개월만 연장한 이유다. 김광회 부산시 도시균형발전실장은 “이번엔 롯데그룹 지주회사 공동대표가 협약서에 서명했기 때문에 약속을 지킬 것이라고 본다. 롯데가 또 소극적이면 4개월 뒤 3개 판매시설의 추가 허가 연장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선 롯데의 자금력을 의심하는 시각도 있다. 실제 롯데쇼핑은 2017년 이후 5년 연속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감소하며 취약해진 상황이다. 코로나19와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건설 원자재 값 급등으로 예상보다 더 불어났을 투자비도 롯데로선 부담이다. 롯데쇼핑 쪽은 “부산롯데타워 공사비는 3년 동안 순차적으로 투입될 것이고 그룹 차원에선 큰 부담이 되는 투자 규모는 아니다. 돈이 부족해 타워동 완공이 또 늦어지는 것을 우려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밝혔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언론보도

Total 184건 1 페이지
언론보도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84 [KBS] [대담한K] ‘정쟁 대신 정책’…시민단체가 제안한 총선 의제는? (2024.03.14.) 부산경실련 2024-03-15 48
183 [부산일보] 기부금 어디 쓰나 ‘오리무중’… 고향사랑기부 확산 ‘발목’ (2024.03.12.) 부산경실련 2024-03-15 46
182 후쿠시마 원전사고 13주기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기자회견 (2024.03.11.) 부산경실련 2024-03-15 41
181 [국제신문] 경실련 “거대양당 유명무실 자체 심사…부적격 현역 대다수 공천” (2024.03.07.) 부산경실련 2024-03-15 27
180 [헬로 이슈토크] 적자인 줄 알았더니…"부산도시철도 경제 효과 컸다" (2024.03.10.) 부산경실련 2024-03-15 34
179 부산 도시철도 이용편익 분석과 공공성 확보 정책토론회 언론보도 (2024.02.27.) 부산경실련 2024-03-15 28
178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제22대 총선 의제 제안 언론보도(2024.02.26.) 부산경실련 2024-03-15 29
177 지방은행 활성화 방안 정책토론회 언론보도(2024.02.22.) 부산경실련 2024-03-15 29
176 [부산일보] 지난해 부울경 체임 2700억… 여성·청년층이 큰 고통 (2024.02.22) 부산경실련 2024-03-15 27
175 [LG헬로비전] 의정활동비 줄 인상 추진…'투명성' 먼저(2024.02.21.) 부산경실련 2024-03-15 32
174 [KNN] 재정난 심화, 둑 터진 대학 등록금 인상 (2024.02.14.) 부산경실련 2024-03-15 33
173 [뉴시스] 부산 현안 국회서 처리하라 "에어부산은 총선 공약으로" (2024.02.15.) 부산경실련 2024-03-15 38